책소개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할 시대적 질문 앞에서 우리는 지금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2000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대사건’ 혹은 ‘새로운 처음’이라 부를 만한 엄청난 사건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마치 21세기는 20세기와 전혀 다른 시대이며, 그래서 21세기는 20세기처럼 살면 안 된다고 소리치는 것 같다. 그렇다면 이러한 세기적 변화의 본질이 무엇인가?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세계를 어떤 방향으로 이끌고 있으며, 이런 상황에서 우리 대한민국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 ‘대한민국 경제학 가정교사’로 불리는 최배근 교수(건국대학교 경제학과)는 신간 ≪최배근 대한민국 대전환 100년의 조건≫(월요일의꿈 펴냄)에서 경제학적 엄밀함과 인문학적 통찰을 담아 ‘대한민국 대전환론’을 풀어냈다. 저자는 이러한 ‘대사건’들을 지난 수백 년간 인류의 상식을 깨는 ‘새로운 처음’ 현상이라고 말한다. 산업문명의 지식체계는 과거의 유사 사건(데이터)을 해석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가정에 기초하는데, 이렇게 겪어본 적 없는 ‘새로운 처음’에는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블랙스완, 롱테일 같은 말들이 나올 수밖에 없는 이유다. 한때 미국의 경제대통령으로 불렸던 그린스펀 전 연준(연방준비제도) 의장은 금융위기가 발발한 후 청문회에 출석(08.10.23)하여 “지난 수십 년간 지배해온 현대 리스크관리 패러다임을 떠받치는 전체 지적 체계가 붕괴”했다고 고백했다. 지금까지 축적해온 지적 체계에 기초해 판단했지만 역부족이었다는 것이다. 이처럼 20세기와 전혀 다른 21세기의 ‘새로운 처음’은 산업사회에서 만들어진 지적 체계로 설명되지 않는 일들이며, 이는 우리가 시대 전환기에 살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저자는 설명한다.
저자소개
건국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아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제사학회 회장, 민족통일연구소 소장, 대안학교인 민들레학교 설립자이자 교장, MBC 자문위원, 국가인권위원회 전문 위원, 코리아글로브 이사장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건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2010년 영국 케임브리지 국제인명센터(IBC)로부터 ‘세계 100대 교수(Top 100 Professionals)’에 선정됨과 동시에 ‘세계 100대 교육자(Top 100 Educators)’, ‘21세기 세계의 탁월한 지식인 2000명(2000 Outstanding Intellectuals of the 21st Century)’에 선정되었다. 2017년 마르퀴즈 후즈 후(Marquis Who’s Who)로부터 2017년과 2018년 연속 평생공로상(2018 Albert Nelson Marquis Lifetime Achievement Award)을 수상하였다.
<한겨레21>의 지구촌경제, <경향신문> ‘경제와 세상’ 등에 고정 칼럼을 연재하는 등 여러 매체에 냉철한 관점으로 경제를 분석하는 글을 기고하고 있다. 또한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 KBS ‘최경영의 경제쇼’를 비롯해 MBC, YTN, 한국경제TV, 매일경제TV, SBS CNBC 등 각종 방송에 고정 출연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위기의 경제학? 공동체 경제학!』, 『세계화, 무엇이 문제일까?』, 『탈공업화와 시장시스템들의 붕괴 그리고 대변환』, 『협력의 경제학』, 『탈공업화 시대의 경제학 강의』, 『어게인 쇼크(Again Shock)』 등이 있으며, 함께 지은 책으로는 『한국사회 대논쟁』, 『2018 미래 전문가가 말하는 서울의 미래』, 『한국보고서』, 『서울의 미래』, 『사회경제 민주주의의 경제학-이론과 경험』 등이 있다.
목차
서문 ‘새로운 처음’형 쓰나미와 디지털문명 사회로의 대전환1장. 21세기 vs. 20세기, 패러다임의 대충돌21세기, ‘새로운 처음’의 시대AI 세대 vs. GE 시대의 교육기후위기 vs. 계몽주의코로나19 vs. 개인주의 문화포스트 미국 세대 vs. 분단체제지체 시대의 고통 vs. 문명 전환의 불가피성2장. 거대한 분기점산업문명의 종언과 시스템의 궤도 이탈미래 착취와 저성장-저금리의 함정불확실성의 일상화, 포스트 산업사회연결 세계와 디지털경제 생태계의 부상포스트 코로나 경제 생태계로의 이행고용과 분배 패러다임의 위기3장. 대한민국, 익숙한 것들과 결별해야 할 시간한국식 산업화 모델, 사망선고를 받다격차 사회와 불공정의 구조화이중 위기, 청년이 한국의 미래인 이유4장. 대한민국 대전환, 그 100년의 조건들디지털 생태계와 새로운 사회계약디지털 생태계와 새로운 인간형, 그리고 교육 혁명디지털 생태계와 새로운 기본권들K방역이 밝혀준 K경제의 가능성5장. K평화, 대한민국 대전환의 마지막 조건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