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신화(神話), 전설(傳說), 민담(民譚), 민요(民謠) 등은 가장 명백하게 그 민족(民族) 내체(內體)의 이상(理想)을 반영(反映)한 것이다. 또 그것은 한 민족(民族)의 마음의 참다운 상징(象徵)이며 구체적 표현(表現)이다. 그러므로 이 마음의 축도(縮圖)를 일소(一笑)에 덧붙여 한롱(僿籠)에 버리는 태도(態度)는 난폭(亂暴)한 행위(行爲)라는 기방(譏謗)을 면치 못할 것이다. 또한 가장 애석(哀惜)한 일이다. 한국의 상하(上下) 누천재(累千載)를 두고 신라처럼 신화나 전설을 많이 가진 시대(時代)는 없다.<서(序) 중에서>
목차
서(序)
제1장 왕자 탄생 유형
(1)신라 시조 혁거세(赫居世)
(2)알영지(閼英池)
(3)계림(鷄林)과 김알지
(4)석탈해(昔脫解)
(5)이씨(李氏) 시조
제2장 상서(瑞祥)이변(異變) 유형
(1)금척(金尺)
(2)만파식적(萬波息笛)
(3)서출지(書出池)와 오기(烏忌)
(4)죽현릉(竹現陵)
제3장 연기(緣起) 유형
(1)논호수(論虎藪) 호원사(虎願寺)
(2)석상(石上) 족적
(3)첨성대와 분황사탑
제4장 귀신 유형(벽사진경僻邪進慶 포함)
(1)비형랑(鼻?郞)
제5장 권선징악(勸善懲惡) 유형
(1)단석(斷石) 산천탑(山千塔)
제6장 압기(壓氣) 유형
(1)단두산(檀頭山)
(2)율림정(栗林井)
제7장 인륜(人倫) 유형
(1)효불효교(孝不孝橋)
(2)영지(影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