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1. 근거기반간호의 이해1장. 근거기반간호근거기반실무의 개념과 구성요소근거기반실무의 등장 배경 및 필요성근거기반실무의 발전과정 및 현황근거기반실무의 단계2장. 근거기반실무 모델질적 환자관리 증진을 위한 lowa 근거기반실무 모델간호사와 보건의료전문가를 위한 Johns Hopkins 근거기반실무 모델긴밀한 협동을 통한연구와 임상실무 발전 모델(ARCCⓒ 모델)지식 변형에 대한 ACE Star 모델3장. 근거기반실무의 기초근거의 위계연구설계실험연구 설계관찰연구 설계체계적 문헌고찰주제범위 문헌고찰질적연구 설계 Chapter 2. 근거기반간호의 실제4장. 임상질문 작성임상질문의 필요성임상질문의 작성PICO 요소와 표준 임상질문유형별 임상질문 사례임상질문, 연구 및 질향상 질문의 비교5장. 근거검색근거검색 전략 수립근거검색의 수행문헌선정6장. 비평적 평가비평적 평가의 의의와 내용질(타당도) 평가임상적 효과 평가적용가능성 평가7장. 권고등급 설정권고등급의 정의와 필요성SIGN 권고등급 체계GRADE 권고등급 체계GRADE-CERQual 확신수준 체계사례를 이용한 권고등급의 설정8장. 실무적용 및 평가실무적용평가 Chapter 3. 근거기반간호의 확산9장. 기관에서의 근거 기반간호 확산근거기반실무를 위한 배경이론근거기반실무를 위한 문화와 활성화 전략간호조직에서의 근거기반간호 운영(사례)간호단위 근거기반실무 프로젝트(사례)기관 내 근거기반실무 확산(사례)10장. 대학에서의 근거기반간호 교육근거기반간호 역량의 정의와 요소대학의 근거기반간호 교육 현황과 방향국외 근거기반간호 교육과정 사례국내 학부 및 대학원 교과목 운영사례11장. 근거기반임상실무지침근거기반임상실무지침의 정의와 필요성근거기반임상실무지침의 개발근거기반임상실무지침의 활용자율학습 정답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