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든
자연과 조화를 이룬 소박한 숲속 삶에 대한 소로의
실천적이고 아름다운 기록!
월든 호숫가에 통나무집을 짓고 혼자 살며
명철한 통찰력으로 자연을 관조하고 문명사회를 비판한 걸작!
구제역, 방사능 유출, 유조선 침몰로 인한 해양 오염 등 자연에서 이익만을 추구하려 한 인간을 준엄한 목소리로 꾸짖는 듯한 전 지구적 재해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무려 150년 전에 출간된 《월든》은 마치 이러한 시대를 예견하고 미리 경종을 울리는 것 같은 책으로 현대인들에게 왜 인간이 자연을 벗삼아 조심스럽게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야 할지 가슴으로 느끼게 해주는 책이다. 하버드대학을 졸업한 후 교사로서 아이를 가르치기도 하고 가업인 연필 제조업, 측량 업무 등에 종사하기도 하던 소로는 27살이 되던 해 월든 호숫가에 통나무집을 짓고 혼자서 살기 시작한다. 이때부터 횟수로 3년, 자연을 관조하고, 관찰하고, 사색한 기록을 책으로 출간한 것이 바로 《월든》이다.
초월주의자였던 그는 “인생을 깊이 살고 인생의 골수까지 빼먹기를 원했으며, 강인하게 스파르타인들처럼 살아서 삶이 아닌 것은 모두 파괴하기를” 원했기에 숲으로 들어갔다. 진지하게 살면서 생의 본질적인 사실만 바라보고 그 삶이 가르쳐주는 것을 배울 수 있는지 실험하려고, 또한 죽을 때 삶을 다하지 못했다는 후회를 하지 않으려고 그는 숲으로 갔다. 조용한 숲속의 고독 속에서 그는 기본적인 의식주는 물론 인간관계 등도 최대한 간소하고 단순화시켰다. 이처럼 간단명료한 삶을 살며 호수를 자세히 관찰하여 측량하기도 하고, 간소한 비용을 들여 농사를 짓기도 했다. 독서의 즐거움을 만끽하고 명상 속에 인생을 관조했다. 숲속에서 소로가 실천한 삶은 은둔이나 도피가 아니라 인생에 대한 적극적인 탐구와 음미였다.
친근하고 애정 어린 시선으로 바라본 자연에 대한 더할 나위 없는 사랑, 마치 잠언집처럼 가슴에 울림을 주는 말들은 읽는 이의 가슴을 따뜻하게 해주며, 문명사회와 인간의 무지함에 대한 날카롭고 명석한 비판은 현대인을 부끄럽게 만든다. 소로는 현대문명 사회가 얼마나 반자연적인 것이며, 수많은 불필요한 것들로 이루어져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잉여물들을 모두 제거했을 때 삶이 얼마나 명쾌하고 아름다워질 수 있는지를 알려준다. 이러한 충고는 무척 적확하고 날카로우며, 소로의 명철한 사고력을 보여주는데 그것은 이처럼 적극적으로 생각하고, 끊임없이 명상하고 관찰한 결과였을 것이다.
출간 당시에는 1700부밖에 팔리지 못했던 이 책은 월든 사후에 차츰 알려져 간디, 마틴 루서 킹 같은 실천적 사상가, 프루스트, 톨스토이 같은 대문호들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으며, 날이 갈수록 빛을 발하는 맑고 귀한 샘물 같은 책이 되어 오늘날에도 끊임없이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 소로의 《일기(Journal)》에서 발췌한 소로의 그림과 그림 설명 수록
헨리 데이비드 소로 (Henry David Thoreau)
저자 헨리 데이비드 소로(Henry D. Thoreau, 1817~1862)는 매사추세츠 주 콩코드에서 조그만 사업을 하는 아버지 존 소로의 셋째 아이로 태어났다. 1828년 그의 부모는 소로를 콩코드 아카데미에 보냈고 그곳 교사들의 도움으로 아카데미를 졸업한 후 1833년 하버드대학교에 입학했다 1837년 중간 정도의 성적으로 졸업한 뒤 가업인 연필 제조업, 교사, 측량 업무 등에 종사했지만, 평생 일정한 직업에 정착하지 않고 학업에 매진했다. 1837년 선배인 에머슨을 알게 되어 그의 집에서 3년간 기거하며 ‘초월주의자 그룹’, 즉 콩코드 집단에 가담, 기관지 《다이얼》에 번역물이나 논문을 실었다. 1840년 그는 콩코드를 방문한 매력적인 여인 엘런 슈얼에게 청혼했으나 거절당한다. 1845년 소로는 월든 호숫가에 통나무집을 짓고 살기 시작하는데 이때부터 3년간 월든 호반에서 생활한 내용을 이 책 《월든》(1854)에 기록하여 책으로 출간한다. 이 책은 소로 생전에는 1,700부밖에 팔리지 않았으나 지금은 미국 문학의 고전으로 전 세계에서 널리 읽히며 독자들의 끝없는 사랑과 관심을 받고 있다. 소로는 사회문제에도 항상 참여적인 태도로 일관했고, 1846년 7월 멕시코전쟁에 반대하여 인두세 납부를 거부한 죄로 투옥당했으나, 다음날 친척이 대납해주어 감옥에서 풀려난다. 이때의 경험을 기초로 쓴 《시민 불복종》(1849)은 훗날 간디의 사상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1850년 의회에서 통과된 도망노예법에 반대하여 1854년 보스턴에서 강연했고, 다시 1859년 하퍼즈 페리의 반란에 즈음하여 ‘존 브라운 대위 변호’를 여러 곳에서 강연하기도 했다. 1862년 5월 6일 45세를 일기로 콩코드에서 숨을 거두었으며 그 밖에 《콩코드 강과 메리맥 강에서의 일주일》 《메인 주의 숲》 《코드 곶》(1865) 등의 저서를 남겼다.
이덕형
역자 이덕형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이화여고, 동성고등학교, 서울사대 부속고등학교 교사를 역임한 후, 서울대학교 강사와 연세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편저로 《한 권으로 읽는 세계문학 60선》을 비롯 옮긴 책으로는 《가시나무새》(콜린 맥컬로), 《호밀밭의 파수꾼》(J. D. 샐린저), 《페이터의 산문》, 《르네상스》(월터 페이퍼), 《센토》, 《돌아온 토끼》(존 업다이크), 《멋진 신세계》(올더스 헉슬리), 《프랑스 중위의 여자》(존 파울스), 《20세기 아이의 고백》(토머스 로저스), 《가든파티》(캐서린 맨스필드), 《천형》(그레엄 그린), 《여기는 모스크바》(유리 다니엘), 《밤비》(펠릭스 잘텐), 《이솝우화》(이솝) 외에 다수가 있다.
1. 경제학
2. 내가 산 장소와 거기서 산 목적
3. 독서
4. 소리
5. 고독
6. 방문객들
7. 콩밭
8. 마을
9. 호수
10. 베이커 농장
11. 더 높은 법칙들
12. 이웃의 동물들
13. 난방
14. 전에 살던 사람들과 겨울 방문객
15. 겨울 동물들
16. 겨울의 호수
17. 봄
18. 맺는말
작품 해설
헨리 데이비드 소로 연보
옮긴이의 말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