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행복한 스피치
- 저자
- 장해순
- 출판사
- 현학사
- 출판일
- 2014-11-24
- 등록일
- 2015-01-20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0
- 공급사
- 북큐브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좋은 스피치는 행복한 사람으로부터 나온다!
스피치 기술은 말하는 사람과 분리될 수 없다는 견해를 제시하고 있는 '행복한 스피치'. 다년 간 경희대학교의 '스피치소통 전문과정'을 지도하고, 검찰, 고위 행정 관리 등을 교육하면서 몸소 느낀 스피치의 이론을 경험뿐 아니라 과학적인 근거를 통해 풀어낸 스피치 교과서.
스피치를 통해 말하는 사람의 전문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세세하게 담겨 있다. 불안감 없는 스피치, 전문성을 보여주는 스피치, 열린 소통을 유도하는 스피치, 친밀감을 주는 스피치, 유사성을 높이는 스피치, 호감을 불러일으키는 스피치 등 스피치를 하는 연사가 갖춰야 할 자질에 대해 꼼꼼하게 담아냈다.
과학적 이론과 실전 경험의 조화
스피치를 할 때 ‘전문적으로 보여라’, ‘신뢰감을 주라’고 한다.
왜 그래야 하는가?
그 해답을 소통 이론과 과학적 실험에 근거한 알찬 자료에서 찾아본다.
스피치에 대한 폭발적인 관심과 더불어, 스피치에 관련한 책이 쏟아지고 있다. 하지만 소통학 연구를 기반을 한 체계적인 스피치 교과서는 부족한 실정이다. 10여년 동안 소통학을 전공하고 연구해 온 장해순 교수의 책은 이러한 혼란 속에서 길잡이가 되어 줄 수 있다.
현대 생활에서 스피치는 여러 얼굴을 가지고 있다. 프레젠테이션, 발표, 연설, 보고, 브리핑, 회의, 토론 등. 이 책에서는 다양한 소통의 양식들을 관통하는 하나의 특징이 있다고 한다. 그것은 상호 교감을 통한 설득이다. 이 설득을 위해서는 목소리, 눈맞춤, 제스처 등 밖으로 표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기존의 책들은 여러 기술을 소개하고, 이것들을 잘하는 노하우를 전수한다.
하지만 왜 그런 스킬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속 시원히 밝히고 있지 않다. 이런 스킬은 바로 말하는 사람의 공신력을 확보해 주는 수단이기 때문에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공신력에 대한 이해가 없이 쓰는 스킬은 어느 때에는 성공을 주기도 하지만, 또 어떤 때에는 실패를 맛보게 해 주기도 한다. 공신력에 대한 핵심적인 이해를 높여주는 ‘행복한 스피치’는 언제 어느 때나 일관적으로 성공적인 스피치를 하길 원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읽어야 할 책이다.
저자소개
장해순
저자 장해순은 현재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스피치 소통 전문과정’ 책임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휴먼 커뮤니케이션 분야(스피치, 토론, 대화, 갈등관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5년 넘게 이 분야를 연구, 교육하고 있다. 여러 대학뿐만 아니라 대검찰청, 감사원, 중앙공무원교육원, 사법연수원, 합참본부, 국방대학교, 선거연수원, 보건복지개발원 등 30여개의 외부 연수기관에서 10년 넘게 초빙강사로 활동하면서 스피치, 토론, 보고와 브리핑, 대화법, 설득커뮤니케이션, 갈등관리 커뮤니케이션, 대인관계와 커뮤니케이션, 면접 및 집단토론 등을 강의하였다. 이러한 외부 강의능력을 인정받아 교육과학기술연수원 사이버강좌 「갈등관리 스킬 업」, 중앙공무원교육원 사이버강좌 및 모바일강좌 「커뮤니케이션 스킬 」, 국립 어린이청소년도서관 사이버강좌 「어린이와의 커뮤니케이션」과정 중 ‘부모와의 커뮤니케이션’ 파트 원고를 집필하였다. 모든 사람이 자발적이면서 자유롭고 즐겁게 소통하고 행복하게 스피치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끊임없이 고민하고 연구하는 학자이자 교육자이다.
목차
01. 스피치와 소통이란 무엇인가
- 스피치란 무엇인가
스피치는 정제된 공적 대화이다 | 스피치는 내용이 아니라 자신의 공신력을 설득하는 것이다 | 스피치는 언어와 비언어의 통합이다 | 스피치는 먼저 자신을, 그리고 상대방을 설득하는 것이다 | 스피치는 에토스, 로고스, 파토스의 통일체이다 | 스피치는 동기, 지식, 스킬의 삼위일체이다 | 스피치는 준비되고 내면화된 퍼포먼스이다
- 소통이란 무엇인가
소통은 삶의 총체이자 공유이다 | 소통은 말하기가 아니라 듣기이다 | 소통은 역사성을 지닌다 | 소통은 사회문화성을 지닌다 | 커뮤니케이션은 상황의존성을 지닌다 | 소통은 언어와 비언어의 통합이다
02. 스피치 불안감은 극복할 수 있다.
- 스피치 불안감에 대한 잘못된 인식
스피치 불안감은 자신만 느끼는 것인가 | 긴장하면 청중은 부정적으로 평가하는가 | 스피치 불안감은 제거해야 하는 대상인가 | 100% 떨었으나 실제로 그렇게 보이는가
- 스피치 불안감은 왜 생기고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가
스피치 능력을 정확히 진단하고 단계적, 구체적으로 목표를 설정하자 | 스피치 불안감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친해지자 | 합리적, 긍정적 생각으로 전환하자 | 연습, 또 연습하자
03. 스피치와 소통은 공신력이다.
- 공신력이란 무엇인가
공신력은 다른 사람이 평가한 이미지이다 | 공신력은 전문성, 신뢰성, 역동성으로 되어 있다
- 공신력은 왜 중요한가
메시지가 아니라 공신력이 설득한다 | 우리는 공신력이 높은 사람을 좋아한다 | 첫인상을 경영하라 | 전문가라는 호칭 사용이 중요하다
04. 전문성을 높이는 스피치 소통 전략
- 전문성을 높이는 언어적 스킬
체계성 법칙 | 핵심성 법칙 | 구체성 법칙 | 평이성 법칙 | 간결성 법칙 | 확신성 법칙
- 전문성을 높이는 비언어적 스킬
눈을 맞추면 똑똑해 보인다 | 어깨에 책임감과 카리스마를 실어라 | 파워 제스처로 전문성을 완성하라 | 얼굴표정에 감정을 실어라 | 목소리에 힘과 의지를 실어라 | 강약조절을 해야 청중을 장악할 수 있다
05. 개방성을 높이는 스피치 소통전략
- 개방성을 높이는 언어적 스킬
긍정언어가 답이다 | 의견이 다를 때 개방성 공식을 따르라 | 의견을 구하는 열린 질문은 존중을 표현한다
- 개방성을 높이는 비언어적 스킬
눈만 맞춰도 수용해 주는 것이다 | 미소는 경계심을 풀게 한다 | 의견이 다를 때 얼굴표정을 잘 관리하라 | 고개 끄덕임은 이해와 동의의 표현이다 | 손과 발을 개방하라 | 고개는 말하는 사람 쪽으로 기울여라
06. 친밀감을 높이는 스피치 소통전략
- 친밀감을 높이는 언어적 스킬
자신을 보여주라 | 인사는 친밀감을 부르는 첫 신호다 | 이름 부르기는 마음의 벽을 허무는 주문이다 | 잡담을 생활화하라
- 친밀감을 높이는 비언어적 스킬
단순하게 눈만 접촉해도 친해진다 | 좋은 감정의 닻을 내려라 | 신체접촉은 마음을 통하게 한다 | 악수는 손으로 하는 인사다 | 목소리는 soft & gentle
07. 유사성을 높이는 스피치 소통전략
- 사회적 배경의 유사성을 높이는 전략
사회적 배경, 목소리, 성격이 비슷해도 호감을 느낀다 | 유사한 꺼리를 찾아 이야기를 지속 시켜라
- 외모의 유사성을 높이는 전략
자신과 닮은 사람을 더 신뢰한다 | 상대방의 스타일에 맞춰라
- 태도와 가치관의 유사성을 높이는 전략
닮아가려는 노력은 가장 강력한 아부다 | 맞장구를 쳐라 | 말을 따라하라 | 행동을 미러링하라 | 말의 속도, 목소리 톤, 호흡을 맞춰라
08. 호감도를 높이는 스피치 소통전략
- 친절함을 높이는 언어적, 비언어적 전략
친절하게 말하라 | 많이 웃어라 | 지지적 칭찬을 생활화 하라
- 연관성을 높이는 언어적, 비언어적 전략
만나서 밥 먹고 차를 마셔라: 오찬기법의 위력 | 중요한 이야기는 멋진 장소에서 식사를 하면서 | 상대방의 관심사를 화제로 삼아라
- 진실성을 높이는 언어적, 비언어적 전략
거짓 없는 마음 표현과 언행일치가 진실성이다 | 자신도 모르게 몸은 거짓말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