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내게 꼭 맞는 집을 갖는다는 건 더 잘 살고 싶다는 바람이니까요”저자가 월간 『행복이 가득한 집』과 3년 넘게 함께한 건축 탐구의 기록!제대로 만들기만 하면 집은 그 안에 사는 이의 삶에 개입하는 인격적 존재가 된다. 행동이든 감정이든 무언가를 불러일으키는 인격적 존재. 무엇보다 지혜로운 공간은 지혜로운 삶을, 경쾌한 공간은 유쾌한 일상을, 경건한 공간은 고요한 시간을 만든다. 그렇다면 그 집을 ‘나의 라이프스타일에 꼭 맞춰가며’ 실력 있는 건축가와 함께 짓는다면? “누군가를 만나 내가 꿈꾸는 걸 원 없이 이야기하고 그에 기반한 결과물을 총체적으로 제공받는 서비스는 집 짓기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일상을 직조하는 고도의 비스포크라고 할까요?” 저자의 말처럼 나와 맞는 건축가를 찾아, 제대로 집을 지어가는 일은 단지 건축 설계와 시공에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다. ‘어떤 집에 살고 싶다’는 곧 ‘어떤 사람이 되고 싶다’와 동의어 같아서, 삶의 지향점을 건축가에게 제대로만 들려준다면 건축가는 훈련된 영혼으로 ‘내게 어떤 공간이 필요한지’ 알려주고 구현해준다. 저자 정성갑은 아파트, 빌라, 한옥 등 다양한 주거 형태를 경험했고, 서울 서촌과 양평에 작은 삼층집과 오두막을 ‘지어봤다’. 하이엔드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럭셔리』의 에디터로, NAVER ‘디자인 주제판’과 『공예+디자인』 편집장으로 일하면서 좋은 집, 훌륭한 건축가, 아름다운 사물과 작품을 접했다. 특히 3년 여 전부터 『행복이 가득한 집』의 대표 칼럼 ‘건축가가 지은 집’을 매달 취재하며 실제로 건축가가 건축주와 합심해 지은 집을 만나왔다. 이 책은 『행복이 가득한 집』 연재 칼럼 중 으뜸이라 꼽을 만한 건축가 스무 명(팀)의 집 스무 채 이야기, 그리고 그동안 그에게 쌓인 집과 건축에 대한 사유를 묶은 ‘건축 탐구집’이다.
목차
Prologue 건축가와 짓는 집, 내 인생의 건강한 바탕 004Chapter 01 건축가가 짓고, 건축가가 사는 집건축가 조병수의 양평 ㅁ자집과 땅집 012 비워서 채워지는 곳건축가 조정선의 살림한옥 026나무가 선물해준 한옥 인생 건축가 최민욱의 창신동 세로로 주택 034토지 매입부터 시공까지 3억 원으로 이룬 기적건축가 김학중의 평창동 삼층집 044무용한 땅이라서 더 그림같던 자연 건축가 최욱의 부암동 자택 056오두막 두 채로 찍은 화룡점정Chapter 02 일터가 된 집건축가 김대균+미술 평론가 유경희의 서촌 한옥 074“영혼까지 자극받아야 진짜 좋은 집이죠”네임리스건축+에이리 가족의 경기도 광주 노곡리 집 086좋은 바람과 볕의 ‘동굴’건축가 김사라+금속 공예가 김현성의 가평 작업실 096열린 결말의 집Essay 108나만의 건축가를 찾아서 Chapter 03 자연 속에 지은 집건축가 이병엽+음향 감독 이규헌의 양평 집 112“세 번째 집도 그와 지을 겁니다”건축가 서승모+사업가 김상태·이애라 부부의 김포 집 126구석구석, 악기처럼 섬세하게건축가 이병호+김상연·정병선 부부의 양평 주택 136양보하고 포기해서 풍요로워지다건축가 정재헌+라사라 유주화 대표의 파주 주택 146“이 집에서 1백 살이 돼도 행복할 것 같아요”건축가 이승호+ 도자 복원가 정수희의 이천 집 156고인돌에서 뻗어 나온 모던 하우스 Essay 168건축가에게 집을 지어 산다는 것은Chapter 04 서울 속, 서울 같지 않은 집건축가 조정구+사업가 윤수현의 은평 한옥 173미련 없이 비운 2층 한옥의 기품건축가 조남호+피아니스트 이성주 부부의 염곡동 집 182욕망하지 않는 건축가가 안긴 명작어번디테일건축사사무소+김희진 씨의 은평 한옥 1922021년 올해의 우수 한옥, 대상의 이유Chapter 05 잠시 머무는 집, 스테이백에이어소시에이츠+춘천 의림여관 204아름다운 숲속 나그네 집건축가 최봉국+양평 아틴마루 216한국에 없던 캐빈 하우스 노말건축사사무소+경주 무우운 228온지음 집공방과 함께 만든 모던 한옥카인드건축사사무소+고성 서로재 240부티크 스테이로 초대Dialogue 250김대균 건축가와의 대화,집 짓는 시간이 행복하려면Copy Right_ Photo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