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시각이라는 도구를 잃었지만 카메라라는 도구를 얻은 여섯 아이,
사진을 만나 특별해진 순간의 기록
귀로 보고 손끝으로 기억하고 마음으로 찍다
앞을 보지 못하는 아이들이 사진을 찍을 수 있을까? 셔터를 누르는 것까지야 할 수 있겠지만 제대로 된 사진은 못 찍지 않을까? 누구나 의문을 가질 것이다. 하지만 이 책에 나오는 시각 장애 아이 여섯 명의 이야기를 보면, 앞이 보이지 않기에 더 많은 것을 상상하고 더욱더 감각적인 사진을 찍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서울 한빛 맹학교 여섯 아이들이 강영호 작가와 함께 강원도로 3박 4일간의 사진 여행을 떠났다. 나라, 성희, 소정, 종서, 범빈, 정완. 이 아이들은 사진을 찍을 때 카메라를 눈앞으로 가져가지 않는다. 대신 귀 옆에 댄다. 소리를 듣고 찍는 것이다. 허공을 향해 손을 뻗어 올려 찍기도 하고, 소중한 것을 다루듯 가슴에 대고 찍기도 한다. 강영호 작가는 아이들의 그런 포즈 자체가 예술이었다고 말한다. 파도 소리, 갈대 흔들리는 소리, 나뭇잎 밟는 소리, 불꽃이 터지는 소리…… 그런 소리들에 반응하며 자기 앞에 펼쳐진 세상을 자기만의 방식으로 담아낸다.
그러다 보니 때때로 흔들리고 아무것도 찍히지 않을 때도 있다. 반면 일반인의 시선으로는 담아낼 수 없는 색다른 구도의 사진들이 탄생하기도 한다. 추상화 같은 아이들의 사진은 때로는 눈보다 마음으로 봐야 잘 보인다. 감각에 집중해서 그 순간을 담아낸 이 사진들에는 아이들의 마음이 고스란히 담겨 있기 때문이다.
목차
RECOMMEND ‘사진’이란 언어로 들려주는 그들의 세상
PROLOGUE 제3의 눈, 카메라를 만나다
INTRODUCE 여섯 아이들을 소개합니다!
PART 1 세상을 담다
기지개를 펴다 | 아직은 의문으로 가득 찬 채 | 카메라로 보는 세상 | 터널 | 세상과 관계를 맺다 | 발걸음 | 안녕, 바다 | 카메라, 새로운 도구 | 보이지 않는 미학 | 빛이 쏟아진다 | 수평과 수직 그리고 사선 | 온 누리를 재료 삼아
PART 2 감각을 깨우다
보려고 하지 않아도 돼 | 나만의 방식으로 | 소리 축제 | 기도하듯이 | 상상의 나래를 펼쳐 봐 | 나만의 감각 | 소리로 그려 보는 세상 | 보고 싶은 것만 볼 순 없다는 걸 | 환상의 세계로 | 찰나의 불꽃을 기억하며 | 불꽃, 터지다 | 폭죽을 즐기는 법 | 환한 세상이 펼쳐질 때 | 비처럼 내리는 불꽃 | 온몸으로 느껴요 | 감사해요 | 어디에도 얽매이지 않고 | 손끝으로 본 세상
PART 3 다가가다
다가가, 느끼다 | 소나무 숲에서 | 소리에 집중하기 | 렌즈와 동기화하기 | 모래의 감촉 | 양 떼를 만나다 | 촉감으로 찍다 | 속임수 없이 | 가자미 한 마리 | 짜릿한 낚시 | 즐거운 자극 | 세상을 향해 손을 뻗다 | 만지다, 기억하다 | 눈보다 하얀 미소 | 세상을 녹일 듯 | 갈대밭을 거닐며 | 조금 더 다가가 보세요
PART 4 들여다보다
마음의 결 | 내 얼굴이 궁금해 | 사진은 나의 일기장 | 세상을 통해 나를 알기 | 그림자놀이 | 사진은 관심이다 | 내 안의 우물 | 발자국 | 자신을 안다는 것 | 나는 한 번이라도 | 결국엔 나 | 나무 한 그루
PART 5 마주 보다
어깨에 손을 얹고 | 우리의 인연이 얼마나 소중한지 | 당신을 만나 기뻐요 | 뜨거운 심장으로 | 사려 깊게 | 섬 | 모래 위의 수줍은 하트 | 나도 모르게 | 발자국이 알려 준 방향 | 불빛 같은 사람 | 꽃이 피었습니다 | 마음이 열리기를 | 매만지다 | 엄마 얼굴 | 당신을 찍었습니다 | 여행의 의미
PART 6 멀리 보다
에덴동산 | 고개 들어도 괜찮아 | 멀리 가기 위해서 | 감정의 바다에 익사하지 않도록 | 살아 있는 것을 대하듯 | 무의식이 만든 필연 | 어둠과 빛 | 용궁으로 가는 거북이 | 더 이상 무의미하지 않다 | 생명의 빛 | 빛이 움직인다 | 갈매기의 꿈 | 여행이 끝났다 |쓸데없는 일
EPILOGUE 손끝의 기적, 고맙습니다
POSTSCRIPT 다녀왔습니다!
APPENDIX 인사이트 캠페인을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