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바야흐로 자율주행차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차는 운전자의 개입 없이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주행 상황을 판단하여 차량을 제어함으로써 스스로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자동차를 말합니다. 이러한 자율주행차는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꾸며, 우리의 삶과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독자 여러분께서는 이 책을 통해 자율주행차의 통신 및 보안 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자율주행차의 발전 방향과 미래 전망에 대한 통찰력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목차
제1장 자율주행차를 위한 통신기술 개요
■ 차량용 통신기술 개요 | 6p
■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 | 8p
■ 자율주행차 | 12p
■ 차량사물통신 | 16p
■ 6G 이동통신 | 20p
■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 21p
제2장 자동차 전장과 CAN통신
■ 자동차 전장의 정의 및 개요 | 23p
■ 자동차 전장기술 구성요소와 산업 | 26p
■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 | 31p
■ LIN통신 프로토콜의 메시지 프레임 구조 | 36p
■ LIN통신 오류검출을 위한 Modulo 연산 | 40p
제3장 CAN통신 프로토콜
■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 | 45p
■ CAN통신 프로토콜의 개요 | 46p
■ CAN통신 프로토콜의 모델 | 52p
■ CAN통신 메시지 프레임 표준 | 55p
■ CAN통신 표준 메시지 프레임 구조 | 56p
제4장 자율주행과 센서 퓨전 - 자율주행의 정의와 센싱 모듈
■ 자율주행의 정의 | 65p
■ 자율주행 실현을 위하여 필요한 기술 | 67p
■ 자율주행을 위한 센싱 모듈 | 70p
■ 센싱 모듈 장착 사례 | 71p
■ 레이더 모듈 | 73p
■ 라이다 모듈 | 84p
■ 카메라 모듈 | 89p
제5장 자율주행과 센서 퓨전 - 센서 퓨전의 필요성과 적용방법
■ 자율주행의 정의 | 96p
■ 자율주행의 정의와 단계별 분류 기준 | 97p
■ 자율주행의 혜택 | 106p
■ 자율주행 자동차 필요 기술 | 107p
■ 자율주행 자동차 개발 현황 | 110p
■ 첨단운전자 지원 시스템 | 111p
■ 자율주행차 센싱 모듈의 기능 및 특성 | 112p
■ 센서 퓨전 기술의 정의 | 118p
■ 센서 퓨전 기술의 적용 방법 | 121p
제6장 자율주행차의 전장기술과 소프트웨어 - 기술의 적용과 발전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발전 | 125p
■ 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성 | 129p
■ 마이크로 컨트롤러 | 133p
■ AT90CAN128의 정의 | 134p
■ AT90CAN128의 특징 | 136p
■ AT90CAN128의 CAN특징 | 137p
■ CAN컨트롤러 인터럽트 기능 | 143p
제7장 자율주행차의 전장기술과 소프트웨어 - 프로세서 유닛과 전장 하드웨어의 대체
■ 직렬 통신의 개념과 정의 | 149p
■ 직렬 통신과 병렬 통신의 차이 | 151p
■ 동기식/비동기식 직렬 통신 | 155p
■ RS-232 직렬 통신의 정의 | 158p
■ 단방향/양방향 통신 | 160p
■ RS-422직렬통신 | 162p
■ AT90CAN128마이크로컨트롤러 | 163p
■ USART 직렬 프레임 | 167p
제8장 자율주행차 보안 기술
■ 암호화의 정의 | 174p
■ 암호화 기술 | 177p
■ 사물인터넷 개념 및 정의 | 181p
■ 사물인터넷 보안 위협 | 182p
■ 사물인터넷 보안 기술 | 186p
■ 자율주행차 보안 위협 | 194p
■ 자율주행차 보안 공격 대응 방안 | 197p
■ 자율주행차 보안 기술 | 198p
제9장 미래 자율주행차를 위한 차량 사물통신(V2X)의 개요
■ 자율 주행차의 정의 | 201p
■ 자율주행차의 기능과 한계 | 202p
■ 커넥티드카의 정의와 개념 | 205p
■ 자율주행과 커넥티드카 | 210p
■ 커넥티드카 운영체제 및 플랫폼 | 214p
■ 사물통신(M2M) | 216p
■ 차량 사물통신(V2X) | 218p
제10장 미래 자율 주행차를 위한 차량 사물통신(V2X)의 표준화 방향
■ 차량 사물통신의 정의 | 223p
■ 차량 사물통신을 위한 통신기술 | 225p
■ 셀룰러-차량사물통신(C-V2X) 기술 표준 | 233p
■ 차량 환경 무선접속(WAVE) 기술표준 | 236p
■ 우리나라의 표준화 동향 | 240p
제11장 미래 자동차용 통신 및 소프트웨어 기술 - 도시항공교통 지원
■ 미래 자동차의 개념 | 243p
■ 미래 자동화를 위한 요소기술 | 247p
■ 플라잉카와 도심 항공교통 | 249p
■ 목적 기반 이동체와 인프라 | 255p
■ 차량사물통신과 이동통신 | 256p
■ 6G이동통신 | 261p
제12장 미래 자동차용 통신 및 소프트웨어 기술 - 통신 및 제어 기술
■ 차량용 소프트웨어 플랫폼 | 265p
■ 개방형 자동차 표준 소프트웨어 구조, AUTOSAR | 268p
■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 273p
■ 차량용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OTA기술 | 276p
■ 서비스형 모빌리티의 정의 | 280p
■ 서비스형 모빌리티의 필요성 | 282p
■ 서비스형 모빌리티의 특징 | 283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