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미리보기
누구나 떨지 않고 똑 부러지게 말할 수 있다
- 저자
- 김지혜 저
- 출판사
- 좋은땅
- 출판일
- 2025-02-27
- 등록일
- 2025-05-07
- 파일포맷
- PDF
- 파일크기
- 1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나도 발표 긴장감 때문에 손과 다리가 떨리고 말이 빨라지는 경험을 했다. 강사 일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다. 한 기업에서 강의를 두 시간 해야 했는데, 긴장을 하니 말이 빨라져서 삼십 분 정도 일찍 끝내 버렸다. 다행히 이런 경우를 대비해 준비해 뒀던 몇 개의 퀴즈를 활용해 그 순간을 모면할 수 있었다.
또 한번은 평소보다 높은 굽의 구두를 신었는데 다리가 좌우로 흔들거렸다. 이때도 순간적인 대처로 청중이 눈치채지 못하게 넘어갈 순 있었지만, 속으로 들킬까 굉장히 조마조마했다. 그래서 나는 수강생들이 겪는 발표 긴장감을 충분히 공감하고 이를 도와주고 싶다.
이 책에는 발표 떨림을 줄이면서 똑 부러지게 말하는 방법이 담겨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 말하기 실력을 늘릴 수 있는 도움말을 제공했다. 내가 직접 공부하고 연습했던 방법, 수강생들을 지도하면서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던 기법들을 담았다.-‘시작하며’ 중에서
저자소개
10년 차 스피치 강사이자 지혜로운 스피치 대표다. 저자는 화학 선생님이 되고자 중앙대학교에서 화학을 전공했다. 그러나 전공 외의 발표와 토론으로 구성된 수업에 참여하면서 스피치의 매력을 느꼈고 진로를 변경했다. 대학생 때 말하는 법을 공부하며 두 달 만에 목소리가 또렷해지는 경험을 했고, 스피치가 자신의 ‘매력적인 무기’가 되었을 때 이룰 수 있는 것들이 많아짐을 직접 체감했다. 졸업 후에는 입사했던 기업에서 신입사원임에도 주요 발표를 맡았고, 인재개발팀과 교육팀을 거치며 교육 운영과 기획, 기업 강의를 담당했다. 프리랜서 강사가 된 후에는 기업 강의부터 대학교, 비영리재단, 개인 코칭까지! 예비 초등학생부터 노년층까지! 다양한 곳에서 여러 연령층을 대상으로 스피치 강의를 했다. 특히 스피치 공부를 해 본 적 없는 중장년층, 노년층 수강생들이 스피치를 쉽게 이해하고 재밌게 배울 수 있도록 가르쳐 강의 만족도가 높다. 지금은 지혜로운 스피치 대표로 스피치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가진 수강생들이 ‘떨지 않고 똑 부러지게 말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목차
시작하며
Chapter 1. 청중의 귀에 꽂히는 목소리
1. 떨림 없이 안정적인 목소리로 말하기
복식호흡 훈련
복식호흡으로 말하기 훈련
2. 힘 있게 뻗어 나가는 목소리 만들기
스타카토 발성 훈련
성량 조절 발성 훈련
3. 정확한 발음으로 또박또박 말하기
입 모양 훈련
받침 발음 훈련
표준 발음 훈련
표준 발음 찾기
4. 상황에 맞는 말투로 원하는 이미지 연출하기
말투 교정을 위해 기억해야 할 세 가지
똑 부러지게 말하기 위해 피해야 할 말투
전문적이고 똑똑하게 말하기
밝고 경쾌하게 말하기
5. 목소리 교정 훈련만큼 중요한 목소리 관리
컨디션 관리부터 하자
잠기는 목소리, 역류성 후두염을 의심하자
목을 촉촉하게 유지하자
스카프로 목을 따뜻하게 보호하자
Chapter 2. 긴장감을 설렘으로 바꾸는 발표 준비
1. 발표에 대한 마음가짐부터 바꾸자
2. 발표 원고를 작성하자
입말투와 요죠체를 사용하자
문장의 길이를 줄이자
두괄식으로 구성하자
3. 키워드 원고를 만들자
4. 예상 질문에 대한 답변까지 준비하자
질의응답 준비 과정
질의응답 대처법
5. 객관적으로 스피치를 점검하자
Chapter 3. 매력적인 발표자가 되기 위한 실전 스피치
1. 몸을 움직여야 한다
다리의 움직임
손의 움직임
움직이지 않을 때의 자세와 인사 자세
2. 눈빛으로 청중을 몰입시켜라
청중의 눈치를 보지 마라
어떻게 청중을 봐야 할까
3. 표정으로 분위기를 바꾸자
4. 호흡으로 속도를 조절하자
5. 중요한 키워드는 잘 들려야 한다
크게 소리 내며 강조하기
잠시 멈추며 강조하기
속도를 늦추며 강조하기
Chapter 4. 일상 속 말하기 연습
1. 독서 모임에 참여하자
2. 블로그를 활용하자
3. 뉴스 기사로 연습하자
4. 사진 묘사하기
마무리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