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의사이자 환자가 쓴 강박장애 지침서가메이 시로는 일본의 정신과 의사다. 하지만 강박장애에 걸린 후 그의 삶은 나락으로 떨어지고 만다. 잘 안다고 생각했던 병이었지만 무시무시한 강박의 손아귀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다. 스스로 ‘지옥 같은 나날’이었다고 묘사한 세월 동안 거의 삶을 포기할 정도로 궁지에 몰렸지만, 일본 최고의 강박장애 전문가를 만나 수많은 어려움을 이겨내고 마침내 강박장애에서 헤어난다. 이 책은 정신과 의사이자 강박장애 환자였던 저자가 같은 어려움을 겪는 사람과 그 가족들을 위해서 쓴 친절한 지침서이자 생생한 투병기다. 이 책은 다르다!강박장애에 관한 책은 많다. 하지만 지나치게 이론 중심이거나, 주로 미국의 예를 들어서 설명하기 때문에 우리와는 거리감이 느껴지는 것이 사실이다. 물론 환자의 처지에 공감하지만, 어디까지나 객관적인 치료자 관점의 공감이다. 이 책은 다르다. 강박이 ‘들이닥치는 순간’ 겪는 온갖 괴로움과 두려움과 걱정이 당사자 자신의 시각으로 묘사되어 생생하기만 하다. 동시에 의사로서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과정 하나하나의 원인과 대처법을 꼼꼼하게 일러준다. 자신의 투병기와 의사로서 경험한 환자들의 증례가 모두 문화와 사고방식이 비슷한 일본을 무대로 하기 때문에 훨씬 친근감이 있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정신질환의 증상 중 괴롭지 않은 것은 없지만, 강박장애만큼 끈질기게 사람을 괴롭히는 것도 드물다. 이 책을 통해 독자는 어디서도 찾기 어려운 공감과 용기를 발견하고, 강박장애에서 빠져나올 실질적인 전략과 수많은 팁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자소개
시가현 출생. 2011년 교토대학 의학부 졸업. 동(同) 대학 부속병원에서 초기 연수를 거쳐 동(同) 정신신경과, 교토 하쿠아이카이병원 정신과, 오사카 적십자병원 정신신경과에서 근무했다. 교토대학 대학원 의학연구과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는 동(同) 정신의학교실 객원 연구원이자, 정신보건지정의 자격을 가지고 있다. 2014년에 강박장애가 발병해 중증으로 발전했고, 마쓰나가 선생님께 치료받았다.
목차
들어가며 4강박장애에 걸린 정신과 의사 지옥에서 얻은 선물 강박장애를 둘러싼 불행 이 책의 구성1 강박장애의 질환 개념 19강박이라는 병 강박장애는 생각보다 흔하다 강박장애의 증상 진단 기준과 정신의학의 한계 강박장애의 3가지 유형 전형적인 예와 비전형적인 예 치료받지 않고 방치하면 어떻게 될까? 치료받으면 어떻게 될까?2 강박장애의 정신병리 41정상적인 심리 활동정신병리란 무엇인가? 불안이란 무엇인가? 불안의 불꽃, 인지, 관념불안 해소 행동, 방치 습관, 조건형성강박장애의 발병 과정불안의 확대, 새로운 관념과 행동 불안 해소 행동의 조건형성: 인지왜곡불안 자체에 대한 공포: 한층 심해지는 인지왜곡 행동 증가와 불안 증대 강박사고, 강박행동, 에너지 소실중증으로 발전하면서 나타나는 증상회피: 시간공간에너지의 손실 끌어들임 통찰의 불량화3 강박장애의 치료 전략 79단 하나의 원칙 치료 가이드라인의 빛과 그늘 약물요법의 개념 인지행동요법이란 무엇인가? CBT를 받으려면 강박장애 CBT CBT로 강박을 개선할 수 있는 이유 CBT 실천 전략 1단계: 에너지를 회복하라 2단계: 공간을 넓혀라 3단계: 이길 수 있는 싸움을 골라라 4단계: 평범한 습관을 도입하라 5단계: 메타인지 획득레벨 1 6단계: 사회생활을 시작하라 7단계: 집착을 완화하라 8단계: 메타인지 획득레벨 24 강박장애의 실제 사례: 저자 131의학부 졸업, 정신과 의사가 되다 조금씩 타오르는 불안의 불꽃 위태로운 상태 첫 번째 끌어들임 강박장애 발병을 자각하다 강박의 비탈길에서 굴러 떨어지다 새로운 환경에서 증상이 조금 가라앉다 더 이상 일을 못 할지도 모른다 약물치료를 시작하다 또다시 타오르는 불안의 불꽃 낚시를 계기로 증상 폭발 주치의를 만나다 쉬면서 에너지를 모으다 단계적으로 강박을 공략하다 일을 다시 시작하다 증상 재발, CBT를 다시 시작하다 완벽 추구를 포기하다 정리하면5 다양한 강박장애 181오염 강박사례: 하루코 씨(33세) 오염 강박으로 통하는 다양한 입구 도망치지 말라 반복하지 않는 요령 입원 치료는 최후의 수단 입원하면 어떤 치료를 할까? 입원을 두려워하는 환자는 많다정리정돈 강박사례: 나쓰키 군(중학교 1학년) 정리정돈 강박의 특징 정리정돈 강박의 CBT 요령어린이의 강박장애사례: 아키코(초등학교 6학년) 약물 부작용 CBT 부모를 끌어들임 부모도 강박장애라면마술적 사고인지왜곡이 증상으로 나타나다6 강박장애의 배경 219강박장애의 역사프로이트의 강박신경증 신경생물학의 등장 DSM-의 등장 DSM-5와 OCRD 강박장애와 관련된 질환군: OCRD저장강박장애 추형공포증 발모증, 피부뜯기장애OCRD 외의 합병증틱장애, 뚜렛 증후군 불안장애 우울증 자폐스펙트럼장애강박장애의 원인유전 감염 성격강박장애의 뇌신경학신경회로: 강박장애 순환고리 가설 신경화학: 세로토닌, 도파민, 글루탐산7 환자와 가족을 위한 지침 251가족을 위한 지침환자를 이해한다 환자는 최선을 다하고 있다 강박 상태에서는 성격이 변한다 사람이 아니라 병이 문제임을 인식한다 끌어들임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폭력을 동반하는 끌어들임 가족이 트레이너가 되자 은둔형 외톨이가 되었다면 왕을 돕는 구조를 무너뜨린다환자를 위한 12가지 지침 원칙을 활용하라 예외를 만들지 말라 강박을 외재화하라 고민되면 환상이라고 생각하라 그건 제 책임이 아닙니다 포기하라: 완벽을 추구해도 절대 도달할 수 없다 쓸데없는 걸 허용하지 말라 안심 의존을 깨부숴라 먹느냐 먹히느냐 위기는 기회 강박 경험은 양식이 된다 결국 자기 자신나가며 284참고문헌 288옮긴이의 말 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