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소개
엄흥섭은 1906년 9월 9일 충남 논산군 채운면 양촌리에서 태어났다. 출생지는 충남 논산이지만, 엄흥섭에게 실질적인 고향은 경남 진주다. 조상 대대로 살아온 진주를 떠나 논산으로 옮겨 온 것은 아버지의 사업 때문이었다. 그러나 사업이 실패하며 가세가 기울고 아버지의 죽음을 시작으로 어머니와 큰형이 차례로 죽은 후 엄흥섭은 작은형과 함께 다시 진주로 내려가 살게 된다. 진주로 돌아가 숙부의 슬하에서 성장하게 된 엄흥섭은 소학교를 다니면서 ≪아라비안나이트≫, ≪로빈슨 크루소≫, ≪이솝 이야기≫ 등을 탐독하며 문학적 소양을 키워나간다. 소학교를 졸업한 뒤 경남도립사범학교(진주사범학교의 전신)에 진학한 엄흥섭은 하이네, 바이런, 괴테 등의 시집을 읽으며 문학에 대한 동경을 키우는 한편 (학우문예)라는 동인지를 만들기도 한다. 또한 1923년에는 (동아일보)에 시 한 편을 투고해 게재되기도 한다. 1926년 사범학교를 졸업하고 곧바로 공립학교인 경남 평거보통학교에 ‘훈도’로 취직한다. 이 시기 농촌에서의 교원 생활은 훗날 농촌의 궁핍한 현실을 다룬 소설과 교사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일련의 지식인 소설을 창작하는 밑거름이 된다.
1923년 (동아일보)에 시가 게재된 이후 엄흥섭은 (동아일보)에 (꿈속에서)(1925. 9. 12), (성묘)(1925. 9. 24), (바다)(1925. 10. 12) 등을 연이어 발표하는 한편 1925년 (조선문단) 11호에 시 (엄마 제삿날)이 ‘당선소곡’으로, (조선문단) 12호에 (나의 시)가 ‘시 당선작’으로 게재된다. 이후 시 창작에 몰두하면서 지역의 문학청년들과 동인지를 만들며 문학 활동을 벌인다. 인천의 진우촌, 공주의 윤귀영 등과 함께 1927년 인천에서 (습작시대)를, 1928년에 공주에서 (백웅)을, 1929년에 진주에서 (신시단) 등의 동인지를 펴내며 지역 문예지의 활성화를 꾀했다.
지역 문학청년들과 교류하던 엄흥섭은 1930년 1월 단편소설 (흘러간 마을)을 (조선지광)에 발표하면서 일약 문단의 주목을 받는 소설가가 된다. 이후 교사직을 버리고 서울로 옮겨 와 잡지 (여성지우)의 편집 업무를 맡아보는 한편 송영, 박세영 등과 더불어 어린이잡지 (별나라)의 동인으로 활동하면서 소설가의 길을 예비한다. 카프에는 1929년에 가입했는데, 1930년 4월에는 안막, 권환, 송영, 안석주와 함께 카프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된다. 카프의 맹원이 된 엄흥섭은 1931년 3월에 김병호, 양창준, 이석봉 등과 함께 ≪불별≫이라는 프롤레타리아 동요집을 펴내고 (별나라), (신소년) 등을 통해 소년소녀들의 계급의식을 고취하는 동화 작품들을 창작하는 등 아동문학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벌인다.
그러다 엄흥섭은 1931년에 발생한 이른바 ‘(군기) 사건’에 연루되어 카프에서 제명당한다. 카프 제명 이후에도 엄흥섭은 카프 이념에 동조하는 작품들을 창작하며 소위 ‘동반자 작가’로서 꾸준한 창작 활동을 펼친다. (온정주의자)(1932), (숭어)(1935), (안개 속의 춘삼이)(1934), (번견 탈출기)(1935), (과세)(1936), (정열기)(1936), (아버지 소식)(1937) 등이 모두 이 시기에 발표한 작품들이다. 1936년에 개성에서 발행하는 (고려시보)의 편집을 담당하고, 1937년에는 인천에서 발행된 (월미)에 참여하기도 한다. 1938년에 소설 (파경)이 유산계급을 매도하고 좌경 사상을 고취했다고 해 출판 금지되고, 기소되어 서대문 형무소에 구금되는 일을 겪는다.
일제 말기에 엄흥섭은 ≪인생 사막≫, ≪봉화≫, ≪행복≫ 등 통속적인 장편소설들을 발표하며 창작 활동을 이어간다. 1940년 5월 엄흥섭은 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의 편집기자로 입사하고, (매일신보)에 (농촌과 문화), (시련과 비약) 등 몇 편의 친일 성향의 작품과 평문을 발표하기도 한다.
해방 후 엄흥섭은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을 거쳐 조선문학가동맹 중앙집행위원 및 소설부 부원으로 참여하는 한편 인천의 (인천신문)의 초대 편집국장, 서울의 (제일신문) 편집국장 등으로 재직하며 언론계에서 주요 인사로 활동한다. 그러나 1948년 9월 (제일신문)에 북조선 인민공화국 창건 소식을 보도해 실형을 언도받는 필화 사건을 겪는다.
이후 1951년 월북해 북한작가동맹 평양지부장과 중앙위원을 지낸다. (다시 넘는 고개)(1953), (복숭아나무)(1957) 등 단편소설을 발표하고, 장편소설 ≪동틀 무렵≫으로 주목을 받는다. 1963년 한설야가 숙청될 당시 그의 추종 세력으로 몰려 뚜렷한 활동을 못하게 된다. 이후 북한에서의 행적은 알려진 바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