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미리보기
패권 쟁탈의 한국사
- 저자
- 김종성 저
- 출판사
- 을유문화사
- 출판일
- 2016-12-14
- 등록일
- 2017-03-27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15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동북아의 무역로와 사상 혁신, 기후 변화 등 패권을 둘러싼 여러 요소들과 한.중.일 삼국의 입체적인 관계를 통해 본 새로운 개념의 한국사 책. 역사를 이끄는 본질적인 원동력인 패권 쟁탈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보다 거시적인 안목과 지혜를 얻을 수 있다.
1부 '무역로와 사상 혁신'에서는 초원길과 연결되어 있던 고조선이 어떻게 동아시아에서 패권을 행사하게 되고 이후 쇄락해 갔는가를 이야기한다. 2부 '왜곡과 정통성 논쟁'에서는 삼국사기의 저자 김부식이 우리 역사를 대륙 중심의 역사관에서 한반도 중심의 역사관으로 바꾸면서 고구려와 백제의 역사를 축소시켰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아울러 백제의 건국시조를 통해 고대 왕국에서 정통성 논쟁에 대해 이야기한다.
3부 '주변 정세와 전략'에서는 중국과 한반도의 3국(고구려, 신라, 백제)이 정세 변화에 따라 어떠한 전략을 운영했는가와 그에 따른 결과를 이야기하고 있다. 4부 '위기관리와 정치력'에서는 당나라에 의해 고구려와 백제가 멸망하는 원인과 배경 등을 이야기하고 아울러 신라와는 다른 정치력을 보였던 고려에 대해 이야기한다.
5부 '기후 변화와 정체 체제'는 원나라의 등장과 기후 변화에 따른 몰락, 공민왕의 정치 개혁과 신진사대부의 등장으로 대표되는 정치 체제의 변화가 패권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이야기한다. 6부 '외교와 안목'에서는 명나라와 조선과의 외교 관계, 바닷길 시대의 등장과 더불어 시대의 흐름을 볼 줄 알았던 일본의 안목과 이에 뒤처졌던 조선의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저자소개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사학과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월간 《말》 동북아 전문기자와 중국사회과학원 근대사연구소 방문학자로 활동했으며, 문화재청 산하 한국문화재재단이 운영하는 《문화유산채널》(구 《헤리티지채널》)의 자문위원과 심사위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문화유산채널》에 명사 칼럼을, 《민족 21》과 웅진씽크빅의 《생각쟁이》에 역사 기고문을 연재했으며 2007년부터 《오마이뉴스》에 〈김종성의 사극으로 역사 읽기〉를 연재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Seri CEO에서 기업인들에게 한국사를, 삼성인력개발원에서 외부 강사로 삼성 신입사원들에게 역사를 강의했다. 기독교방송CBS의 〈김미화의 여러분〉에서 역사 코너에 출연했고, 2012년부터 교통방송TBS의 〈송정애의 좋은 사람들〉(구 〈오지혜의 좋은 사람들〉)에서 역사 코너에 출연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 중국 일본, 그들의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역사》, 《조선 노비들, 천하지만 특별한》, 《왕의 여자》, 《철의제국 가야》, 《한국사 인물통찰》, 《조선을 바꾼 반전의 역사》, 《동아시아 패권전쟁》, 《조선사 클리닉》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조선상고사》가 있다.
목차
프롤로그 - 패권 쟁탈의 역사를 해부하는 힘과 에너지들
1부 패권의 기반은 길 위에 있다
- 무역로와 사상 혁신
1 한민족의 전복과 반전의 역사를 이해하는 출발점
2 빗살무늬 토기와 햄버거가 오가던 길
3 초원길을 기반으로 한 한민족 왕조
4 고대 중국을 위협한 고조선의 힘
5 기원전 6세기 이후, 농경 지대의 문화 혁신
6 전삼한과 후삼한으로 본 고조선의 변화
7 고조선은 왜 분열했는가
2부 무엇이 패권을 지키는가
- 왜곡과 정통성 논쟁
1 패권의 시각을 뒤흔든 김부식의 거짓말
2 한국 고대사에서 의문으로 남은 왕국, 부여
3 왜 평민은 건국 시조가 되지 못했을까
4 주몽과 소서노의 패권 다툼
5 소서노의 백제 건국을 뒷받침하는 여섯 가지 증거
6 세계를 지배하던 길 대신 찾은 새로운 길
7 고조선을 둘러싼 역사 왜곡
8 한나라가 설치한 한사군의 진실
3부 기회를 얻는 자가 패권을 얻는다
- 주변 정세와 전략
1 정세 변화에 따른 삼한의 위상 축소
2 후한의 등장과 힘을 추스르는 한민족
3 중국의 분열과 한민족의 각개약진
4 고대 왕국의 전략, ‘땅보다는 노동력을 확보하라’
5 고구려의 전략 변경과 한반도의 긴장 고조
6 전략을 바꾼 신라의 상징, 화랑도
7 한반도의 비주류가 주류로 올라서던 날
8 고구려와 백제에는 왜 슈퍼 정권이 들어섰을까
4부 패권의 향방을 가늠하는 근본적인 힘은 무엇인가
- 위기관리와 정치력
1 연개소문의 죽음이 만든 위기를 넘지 못한 두 나라
2 백제의 위기관리 부재와 전략적 실수
3 당나라의 몰락과 측천무후의 정치력
4 호기를 살리지 못하고 위기를 맞이한 발해
5 풍요로운 만주의 밥상을 가로챈 거란
6 동아시아 패권의 캐스팅보트가 된 한반도
7 위기에 따른 동아시아의 나비효과
8 고려의 통일에서 제외된 탐라
9 신라의 안목을 넘어선 고려의 뛰어난 위기관리
10 동아시아의 균형을 잡은 고려의 중간자 역할
5부 패권은 하늘과 사람이 만든다
- 기후 변화와 정치 체제
1 몽골의 말머리를 남쪽으로 돌린 기후 변화
2 무신정권 체제의 한계와 종말의 원인
3 기후 변화에 따른 몽골의 몰락
4 고려의 새로운 피가 결국 고려를 멸하다
6부 패권은 언제나 변하기 마련이다
- 외교와 안목
1 명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건강한 나라였던 조선
2 일 년에 세 번이냐, 삼 년에 한 번이냐
3 명나라와 조선의 ‘악의 축’, 여진족 견제
4 북쪽만 신경 썼던 조선의 근시안
5 임진왜란의 후폭풍을 잠재운 조선의 외교 전략
6 상식 밖의 시각으로 열린 바닷길
7 근현대사를 움직인 새로운 패권 쟁탈의 무대
8 의자왕의 전략을 닮은 고종의 근시안
에필로그 - 남북한 분단 이후의 패권 향방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