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법의 정신(상)
- 저자
- 몽떼스뀨
- 출판사
- 박영사
- 출판일
- 2004-04-30
- 등록일
- 2007-01-01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0
- 공급사
- 웅진OPMS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민심의 계발은 무관심할 수 없는 문제이다. 집정자의 편견은 우선 국민의 편견에서 시작된 것이다. 무지 몽매한 시대에는 극악을 행할 때에도 사람들은 조금도 의혹을 품은 일이 없었지만, 개명의 시대에는 지선을 행할 때에도 겁이 나서 떨 정도이다. 사람들은 옛날의 악정을 느끼고 그 광정(匡正)을 보고, 심지어는 그 광정의 폐단까지 보고 있다. 사람들은 대악을 두려워하면 소악을 정임하고, 지선을 의혹하게 되면 연선에 머무르며, 부분의 고찰은 모름지기 총체를 판단하기 위함이요, 모든 원인이 검토는 모든 결과를 알기 위함이다.
저자소개
프랑스 18세기 계몽공상가, 법학자, 역사가, 정치학자, 문학자, 사회학자, 문명비평가.
1689년 라 블레드에서 출생
1714~16년 보르도 고등법원 판사
1716~26년 보르도 고등법원장
저서로는 1721년(페르샤인의 편지)
1734년(로마 인성사원인론)
1748년(법의 정신)
목차
원서
제 1 부
제1편 法一般에 대하여
제1장 法과 諸存在物과의 관계에 대하여
제2장 自然法에 대하여
제3장 制定法에 대하여
제2편 政體의 本性에서 직접 由來하는 法에 대하여
제1장 三種의 政體의 본성에 대하여
제2장 共和政體에 대하여 및 民主政에 관한 法에 대하여
제3장 貴族政의 성질에 관한 法에 대하여
제4장 君主政體의 本性과의 관계에 있어서의 法에 대하여
제5장 專制國家의 本性과의 관계에 있어서의 法에 대하여
제3편 三政體의 原理에 대하여
제1장 政體의 本性과 그 原理와의 차이
제2장 各種의 政體의 원리에 대하여
제3장 民主政의 원리에 대하여
제4장 貴族政의 原理에 대하여
제5장 德性이 君主政體의 原理가 아니라는 것
제6장 君主政體에 있어서 德行에 대신하는 것은 무엇인가
제7장 君主政의 原理에 대하여
제8장 名譽는 專制國家의 原理가 아니라는 것
제9장 專制政體의 原理에 대하여
제10장 制限政體와 專制政體에 있어서의 服從의 差異
제11장 이상 전부에 대한 考察
제4편 敎育法은 政體의 原理와 관계가 있어야 한다
제1장 敎育法에 대하여
제2장 君主政體에 있어서의 敎育法에 대하여
제3장 君主政體에 있어서의 敎育에 대하여
제4장 고대 및 현대에 있어서의 敎育效果의 相違
제5장 共和政體에 있어서의 敎育에 대하여
제6장 그리스 사람들의 몇 가지 制度에 대하여
제7장 어떤 경우에 그러한 특이한 제도가 좋을 수 있는가
제8장 風習에 관한 古代人의 한 逆說의 說明
제5편 立法者가 제정하는 法은 政體의 原理와 관련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
제1장 本篇의 觀念
제2장 政治的 國家에 있어서의 德性이란 무엇인가
제3장 民主政에 있어서의 국가에 대한 사랑이란 무엇인가
제4장 平等과 儉素를 사랑하는 마음이 어떻게 鼓吹되는가
제5장 民主政에 있어서 法은 어떻게 평등을 설정하는가
제6장 民主政에 있어서 어떻게 法이 儉素를 유지해야 할 것인가
제7장 民主政의 原理를 옹호하는 기타의 諸方法
제8장 貴族政에 있어서 법이 어떻게 政體의 原理와 관계되어야 하는가
제9장 君主政에 있어서 法은 어떻게 그 原理와 관계되고 있는가
제10장 君主政에 있어서의 執行의 迅速함에 대하여
제11장 君主政體의 탁월성에 대하여
제12장 前章의 계속
제13장 專制主義의 觀念
제14장 法은 어떻게 專制政體의 原理와 관계되는가
제15장 前章의 계속
제16장 權力의 전달에 대하여
제17장 贈物에 대하여
제18장 主權者가 贈與하는 포상(褒賞)에 대하여
제19장 三政體의 原理의 새로운 諸結果
제6편 각종 政體의 原理의 歸結과 民法·刑法의 簡素, 裁判의 형식
제1장 각종 政體에 있어서의 民法의 單純性에 대하여
제2장 각종 政體에 있어서의 刑法의 單純性에 대하여
제3장 어떤 政體에 있어서, 어떤 경우에 法의 明文에 따라 재판을 해야 하는가
제4장 裁決을 내리는 양식에 대하여
제5장 어떤 政體에 있어서 主權者는 裁判官이 될 수 있는가
제6장 君主政에 있어서 諸大臣이 재판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
제7장 唯一裁判官(Magistrat unique)에 대하여
제8장 諸種의 政體에 있어서의 彈劾告發에 대하여
제9장 각종 政體에 있어서의 刑罰의 峻嚴性에 대하여
제10장 프랑스의 古法에 대하여
제11장 人民이 有德할 때에는 형벌이 불필요하다는 것
제12장 刑罰의 힘에 대하여
제13장 日本法의 無力
제14장 로마 元老院의 精神에 대하여
제15장 刑罰에 관한 로마人의 법에 대하여
제16장 罪와 罰의 올바른 균형에 대하여
제17장 罪人에 대한 拷問 또는 訊問에 대하여
제18장 罰金刑 및 體刑에 대하여
제19장 反坐法에 대하여
제20장 子息 대신에 아버지를 처벌하는 것에 대하여
제21장 君主의 寬容에 대하여
제7편 奢侈禁止法, 사치 및 여자의 지위에 관한 三政體의 여러 가지 原理의 歸結
제1장 奢侈에 대하여
제2장 民主政에 있어서의 奢侈禁止法에 대하여
제3장 貴族政에 있어서의 奢侈禁止法에 대하여
제4장 君主政에 있어서의 奢侈禁止法에 대하여
제5장 어떤 경우에 奢侈禁止法이 君主政에 있어서 유용한가
제6장 中國에 있어서의 사치에 대하여
제7장 中國에 있어서의 사치의 숙명적인 결과
제8장 公的인 節操에 대하여
제9장 諸種의 政體에 있어서의 여자의 신분에 대하여
제10장 로마人에 있어서의 家庭裁判에 대하여
제11장 로마에 있어서 모든 制度가 어떻게 政體와 더불어 변화했는가
제12장 로마人들 사이에 있어서의 여자의 後見에 대하여
제13장 諸皇帝에 의하여 제정된 여자의 不貞에 대하여
제14장 로마人들 사이에 있어서의 奢侈禁止法
제15장 諸種 헌법에 있어서의 持參金 및 婚姻에 수반되는 모든 利得에 대하여
제16장 삼니트 사람들의 美風
제17장 여자의 施政에 대하여
제8편 三政體의 原理의 부패에 대하여
제1장 本篇의 大意
제2장 民主政의 原理의 부패에 대하여
제3장 극단적인 평등 정신에 대하여
제4장 人民의 부패의 특수한 원인
제5장 貴族政의 原理의 부패에 대하여
제6장 君主政의 原理의 부패에 대하여
제7장 前章의 계속
제8장 君主政體의 原理의 부패의 위험
제9장 귀족은 얼마나 王權을 옹호하려는 경향이 있는가
제10장 專制政體의 原理의 부패에 대하여
제11장 原理의 정당성과 부패의 자연적인 효과
제12장 前章의 계속
제13장 有德한 인민 사이에 있어서의 誓約의 효과
제14장 어떻게 하여 헌법에 있어서의 아주 적은 변화일망정 諸原理의 파멸을 초래
제15장 三原理를 보존하기 위한 대단히 유효한 방법
제16장 共和政의 特性
제17장 君主政의 특성
제18장 스페인의 君主政이 특수한 경우에 있었다는 것
제19장 專制政體의 特性
제20장 이상 數章의 결과
제21장 中國帝國에 대하여
제2부
제9편 法과 防禦力과의 관계에 대하여
제1장 共和政은 어떻게 그 안전에 대비하는가
제2장 聯邦의 구조는 同質의 국가, 특히 共和國으로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
제3장 聯邦的 共和政에 있어서 필요한 다른 여러 가지 事項
제4장 專制國은 어떻게 그 안전에 대비하는가
제5장 君主國은 어떻게 그 안전에 대비하는가
제6장 국가의 防禦力 일반에 대하여
제7장 省察
제8장 한 나라의 방어력이 공격력보다 부족한 경우
제9장 諸國家의 상대적인 힘에 대하여
제10장 邦 諸國의 미력함에 대하여
제10편 攻擊力과의 관계에 있어서의 法에 대하여
제1장 攻擊力에 대하여
제2장 戰爭에 대하여
제3장 征服權에 대하여
제4장 被征服民族의 약간의 利益
제5장 시라쿠사의 王 제론
제6장 정복하는 共和國에 대하여
제7장 前章의 계속
제8장 前章의 계속
제9장 주위를 정복하는 君主政에 대하여
제10장 다른 君主政을 정복하는 君主政에 대하여
제11장 被征服人民의 風習에 대하여
제12장 키루스의 法에 대하여
제13장 카를르 12世
제14장 알렉산더
제15장 征服을 保全하는 새로운 方法
제16장 征服하는 專制國家에 대하여
제17장 前章의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