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사찰 장식, 그 빛나는 상징의 세계
- 저자
- 허균
- 출판사
- (전송권없음/교체용)돌베개
- 출판일
- 2003-03-25
- 등록일
- 2017-06-20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16MB
- 공급사
- 웅진OPMS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부처님을 향한 종교적 염원과 옛 사람들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창조된 다양한 사찰 조형물과 장식문양의 상징 의미를 설명한 책이다. 책을 펼치면 우선 전국 250여 군데 사찰을 답사하며 찍었다는 화려한 원색 사진이 눈에 띈다. 연꽃, 용, 귀면, 물고기 등의 장식문양부터 사사자상, 불상, 탑 등의 조형물에 이르기까지 사찰 장식물의 세계가 이렇게 다양하고 풍부했던가 놀라게 될 것이다. 때로는 엄숙하게, 때로는 익살스럽고 친근한 모습으로 사찰을 장엄하는 여러 문양과 조형물들의 종교적, 신화적 근원을 살펴보고 그 숨겨진 의미와 상징성을 밝힌다. 외형의 아름다움을 넘어서 그 대상이 지닌 내면의 정신세계를 새롭게 비추는 책이다.
이 책의 서술 방식은 사찰의 조형물이나 장식물의 소재를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것을 기본으로 삼았다. 그러나 불국사 석가탑과 다보탑, 통도사 봉발대와 같이 그 자체가 불교의 신앙 체계나 불경의 내용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예가 되는 것들은 개별적으로 다루기도 하였다.
대상의 선정에 있어서는 기능적인 가치보다 상징성이 강한 것을 우선으로 하였다. 따라서 당간지주처럼 기능성만이 강조된 것은 자연히 제외되었으며, 개별적인 것 못지않게 사찰 공간이 지닌 의미를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것 또한 중요하기 때문에, 건축물이나 존상의 배치 등 공간적인 상징성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았다.
저자소개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미술사를 전공하였다.
현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책임편수연구원이며 문화관광부 문화재전문위원, 문화재 감정위원, 문화재청 심사평가위원, 우리문화연구원 연구위원으로 있다.
저서로 『문화재 및 전통문화 관리기능의 효율적 방안 연구』(공저), 『전통미술의 소재와 상징』, 『고궁산책』,『전통문양』이 있으며,「한국인의 기질과 미의식」,「민화에 나타난 서민의식」, 「한국인의 미의식과 그표현의 특질」등 논문 다수가 있다.
목차
책머리에
<b>1. 장식문양에 깃든 상징의 세계</b>
연꽃 ┃ 청정한 불국세계의 꽃
용 ┃ 불국정토로 인도하는 사찰의 수호신
귀면 ┃ 사악한 무리를 경계하는 벽사의 화신
비천상 ┃ 부처의 소리를 전하는 아름다운 선녀
과 卍 ┃ 길상과 만덕의 표정
토끼와 자라 ┃ 바닷속 불국정토로 향하는 불전설화의 주인공
물고기 ┃ 원천적 자유와 수행의 상징
가릉빈가 ┃ 부처의 소리를 전하는 묘음(妙音)의 새
주악인물상 ┃ 공양과 찬탄의 연주자
십이신장상 ┃ 중생의 고통을 구제하는 약사여래의 분신
태극 ┃ 절대 평등과 원융(園融)의 조화
원상 ┃ 깊고 오묘한 불법의 표상
심우도 ┃ 인간의 본성을 찾아가는 길
<b>2. 불전을 장엄하는 극락정토의 꿈</b>
불단 ┃ 현실과 환상의 신비로운 공존
단청 ┃ 불전을 장식하는 화려한 색채와 그림
천장의 꽃 ┃ 하늘에서 내리는 환희의 꽃비
문살 ┃ 꽃살문 속에 스며 있는 길상의 상징
닫집 ┃ 불전 속에 세워진 또 하나의 궁전
<b>3. 조형세계에 숨겨진 불교의 진리</b>
불상 ┃ 부처의 권능과 신성의 표현
광배 ┃ 지혜와 권능의 빛
불상의 자세ㆍ수인ㆍ지물 ┃ 부처의 행적과 서원의 표현
탑 ┃ 부처의 몸이 영원히 머무는 곳
탑의 층수 ┃ 우주 원리에 응하는 길상의 수
사사자상 ┃ 권위 그리고 오묘한 불법의 표현
부도 ┃ 삶과 죽음의 기하학적 상징형
봉발대 ┃ 미륵불의 하강을 기다리며
사물 ┃ 중생을 제도하는 법성(法性)의 소리
<b>4. 지상에 펼쳐진 불국의 세계</b>
당우와 문루 ┃ 사바세계에 세운 불ㆍ보살의 전당
불전과 존상의 배치 ┃ 불법의 진리로 모이는 만다라의 세계
석가탑과 다보탑 ┃ 영산회상의 석다여래와 다보여래
다리 ┃ 현실세계와 피안의 경계
계단 ┃ 불국정토에 구현된 수계(受价)의 장소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