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회
1920년대에 사회주의 이념을 표방하고 나선 카프는, 식민지 상황의 극복과 사회주의 국가의 건설을 위한 정치적 실천의 일환으로 문학 운동을 전개한다. 동반자 문학은 이같은 운동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조직의 일환으로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사회주의 문학의 대의에는 동조하는 문학을 가리킨다.
동반자 작가 중에서도 카프 쪽에 가장 가까운 면모를 보인 그의 작품 세계는 당대 사회 상황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지주와 소작농의 대립을 그린 <흘러간 마을> 등 긍정적 주인공이 등장하는 카프 계열의 작품들로 시작해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소개되고 카프가 해산되는 1930년대 중반에는 왕성한 창작활동을 통해 카프작가의 공백을 메웠다. <번견탈출기>(1935), <숭어>(1935) 등은 긍정적 주인공이 사라지고 집단에 매개되지 않은 개인적 반항을 그리는 특징을 드러내고 있다.
대전에서 호남선을 갈아타고난 나는 찻속은 모두 잠들은 사람뿐인 새벽인데도 불구하고 잠 한숨 이루지 못하였다.두계, 연산, 논산을 지나고 다음 정거장이 강경 역이라고 느껴진 나는 더 한층 정신이 또렷또렷 샘솟았다.
강경은 내가 어렸을 때에 자라난 고향이기 때문이다.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