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두보는 중국 최고 시인의 한 사람이다.
인생에의 성실- 두보의 문학의 근원에서 성립시키는 원동력이다.
백거이는 민중의 편에 서서 민중의 언어로 민중의 노래를 부른 민중의 시인이다.
류우석은 민용의 정신과 형식을 살려 생명감이 넘치는 짧은 시를 만드는데 성공한 시인이다.
류종원은 산문작가로서 당대(唐代)의 최고봉이었다. 산문에서는 문장의 내용보다는 외형적인 아름다움에만 주력하는 변문(騈文)의 문체를 배격, 이른바 고문운동(古文運動)을 한유(韓愈)와 함께 일으켰다.
목차
1. 두보
2. 미녀의 노래
3. 병거(兵車)의 노래
4. 봉선(奉先)가는 길의 희포
5. 왕손을 슬퍼하며
6. 강가에서 슬퍼하며
7. 봄의 전망
8. 북으로 가는 길
9. 강촌(羌村)
10. 신안(新安)의 관리
11. 동관의 관리
12. 석호(石壕)의 관리
13. 신혼의 이별
14. 늙마의 이별
15. 집 없는 이별
16. 달밤의 아우 생각
17. 동곡(同谷)의 노래
18. 강 마을
19. 손님이 와
20. 강가의 정자에서
21. 화경(花卿)에게 드림
22. 가을바람에 부서진 띳집
23. 나그네의 밤
24. 하북(河北)을 수복한 소식
25. 소나무 넷
26. 긴긴해 봄바람
27. 올 봄도 보는 동안에
28. 밤배
29. 등고(登高)
30. 악양루(岳陽樓)에 올라
31. 강남에서 리귀년(李龜年)을 만나
32. 원결
33. 송릉(春陵)의 노래
34. 적도가 물러난 뒤
35. 장적
36. 떠나는 며느리
37. 폐가(廢家)의 노래
38. 전쟁미망인의 원망
39. 산골 농부의 노래
40. 백거이
41. 신풍(新豊)의 팔 부러진 노인
42. 서량 놀이
43. 두릉(杜陵)의 노인
44. 숯장이 노인
45. 꽃을 산다
46. 솔바람 소리
47. 쾌적
48. 못 잊을 한
49. 비파 노래
50. 옛 언덕의 풀
51. 저녁 강
52. 술을 대하며
53. 원진
54. 직부(織婦)의 노래
55. 농가의 노래
56. 옛날의 행궁
57. 한유
58. 로동(盧仝)에게 부친다.
59. 산의 돌은
60. 곡식을 싫어하는 말
61. 좌천되어 가면서
62. 맹교
63. 교방(敎坊)의 어린 가수
64. 가난살이의 가을 저녁
65. 「유자(遊子)의 노래」
66. 로동
67. 어제를 한탄한다.
68. 곧은 낚시의 노래
69. 상이군인을 만나
70. 가도
71. 매미소리 듣는 감회
72. 은자를 찾다가 만나지 못하고
73. 왕건
74. 바다 사람 노래
75. 새 색시
76. 류우석
77. 「죽지사(竹枝詞)」
78. 「답가사(踏歌詞)」
79. 류종원
80. 늙은 어부
81. 강의 눈
82. 리하
83. 머리 빗는 미인
84. 소소소(蘇小小)의 무덤
85. 가을바람에 부치는 감상
86. 「신현곡(神絃曲)」
87. 가을이 오다
88. 안문(雁門) 원님의 노래
89. 두목
90. 강남의 봄
91. 진회(秦淮)에 배를 대고
92. 회포
93. 산길
94. 리상은
95. 남아 있는 금슬(錦瑟)
96. 곡강(曲江)
97. 락유원(樂遊原)에 올라
98. 무제(一)
99. 무제(二)
100. 상아(常娥)
101. 무제(三)
102. 개구쟁이
103. 매미
104. 밤비에 부치는 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