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조선 지식인의 비평 노트
- 저자
- 고전연구회 사암
- 출판사
- (전송권없음/교체용)포럼
- 출판일
- 2007-06-22
- 등록일
- 2017-06-20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450KB
- 공급사
- 웅진OPMS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옛사람들이 어떤 태도와 마음가짐으로 자신의 글은 물론 다른 사람을 글을 대했는지 알아보는 책. 글에 대한 비평과 더불어 그림과 서예에 대한 비평까지 살펴본다. 박지원, 유몽인, 유성룡, 이덕무, 정약용 등 한 시대를 풍미했던 옛 선비들의 글과 그림, 서예에 대한 비평을 그들이 지은 저술이나 문집 속에서 뽑아 새롭게 구성했다.
저자소개
한정주 : 1966년 전남 고흥에서 태어났다. 광주 석산고와 동국대 사학과를 졸업했다. 10여 년 동안 동양고전(철학.사상) 출판 기획에 종사해왔으며, 현재 '고전연구회'에서 고전의 대중화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고전연구회사암 : 고전의 대중화를 위해 시작된 모임이다
엄윤숙 : 1971년 부산에서 태어나 덕성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목차
- 머리말
평탄함을 얻지 못한 자의 울부짖음 _김시습 비평
비평을 대하는 두 가지 태도 _비평론
자신의 마음과 뜻을 드러낸 시 _정인홍 비평
살아 있을 때 간행한 문집 _문집 비평
일찍이 보지 못한 기이한 문장 _조식 비평
문장에 깃든 기운과 담긴 뜻에 따라 차이가 있다 _기대승 비평
글 짓는 어려움을 잘 알았던 연암 _박지원 비평
성난 사자가 돌을 긁는 듯 _한석봉 비평
항아리 덮개에나 쓸 글이라고 비난받을까봐 그만두겠는가 _장유 자평
행동이 논리만 못한 사람과 논리가 행동만 못한 사람 _문장가 비평
세상 사람들이 꺼린 백사의 만인시 _이항복 비평
퇴계가 시를 잘 짓지 못했다? _이황 비평
속마음을 감추고 익살스러운 말과 기괴한 행동을 보인 이지함 _이지함 비평
왼손으로 네모를 그리면서 오른손으로 동그라미를 그릴 수는 없다 _이수광 비평
문장의 차이는 세상과 더불어 오르내리는 기운에 따라 다르다 _장유 비평
너무 많아 넘치거나 지나치게 간략한 것 모두 잘못이다 _명문장집 비평
나라를 빛낸 가문 평강 채씨 _평강 채씨 비평
천자문은 어린아이들이 배우기에 적당하지 않다 _『천자문』비평
잡스럽고 천박한 글이라도 반드시 얻을 것이 있다 _『잡찬』비평
귀신의 안목을 갖춘 비평가 _김수온 비평
비교할 만한 문인이 드물다 _유몽인 자평
인간의 경지를 넘어선 묵란화 _흥선대원군 비평
글의 좋고 나쁨은 말을 잘 꾸미는 데 있지 않다 _시 비평
비천한 백성의 노래가 사대부의 시보다 훌륭하다 _민요 비평
기이하고 신비스러운 이야기나 소설이 존재하는 이유 _『태평광기』비평
문장에 자연의 이치를 담은 목은 이색 _이색 비평
조선의 학문적 뿌리, 포은 정몽주 _정몽주 비평
박지원이 중국에서 태어났더라면 _박지원 비평
신하의 절개와 의로움을 밝힐 수 있는 근본 뿌리 _길재 비평
옛사람의 문장을 뛰어넘다 _이숭인 비평
옛 문장을 근거 삼아 오늘의 문장을 비평하지 말라 _문장 비평
순수하고 독실한 자질을 갖추다 _김세규 비평
보여 주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_비평론
나 스스로를 비평한다 _허목 자평
제봉 고경명은 용과 같은 사람이다 _고경명 비평
역사를 기록하는 붓끝이 부리는 조화 _역사가 비평
하늘과는 통하면서, 사람과는 통할 수 없단 말인가 _현옹 비평
다른 사람이 지은 글을 비평하는 올바른 방법 _비평론
시가 사람을 궁색하게 만든다는 주장에 대한 변론 _시 비평
옛사람의 교훈에 정신을 빼앗기다 _이덕무 비평
모든 것을 잊고 한 가지에 미쳐야만 이룰 수 있다 _기예가 비평
허공의 꽃이나 물속에 잠긴 달 _허난설헌 비평
붉은 까마귀라 해도 좋고 푸른 까마귀라 해도 좋다 _시 비평
우리 명문장가의 계보를 밝힌다 _명문장가 비평
노자, 장자, 순자, 한비자의 글을 비평한다 _제자백가 비평
기상의 화려함만 취해 시를 지으면 시의 품격을 이룰 수 없다 _시평
겉모양은 아름답지만 속은 텅 빈 책과 겉은 하잘것없어도 속은 꽉 찬 책 _소천암 비평
나의 스승 손곡산인을 말한다 _이달 비평
가려 뽑아 엮은 우리나라 명문장 _문선 비평
은을 철이라고 생각한들 _이지함 비평
고려 시대에 전해오는 여성 시는 단 한 편뿐 _고려의 여성 시 비평
문장에만 매달리면 광대나 다름없어진다 _장유 비평
시란 책으로 배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_유희경 비평
우리나라 문장의 선구자, 최치원 _최치원 비평
볼 줄 아는 눈, 들을 줄 아는 귀 _문장 비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