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그들은 어떻게 위기를 극복해내고 승리할 수 있었을까?
이 소설은 거란의 2차 침공(1010년)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강조의 정변’을 빌미로 거란 성종은 40만 대군으로 고려를 침공하고, 고려는 수도 개경까지 함락당한다. 고려는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게 되나, 고려 현종이 강감찬의 건의를 받아들여 항전을 결심하고, 서북면도순검사 양규, 구주별장 김숙흥, 통군녹사 조원, 애수진장 강민첨 등의 활약으로 위기를 벗어나게 된다.
특히 양규와 김숙흥의 분전으로, 거란군은 수만 명의 사상자를 내게 된다. 또한 압록강을 건너 퇴각할 때는 말과 낙타, 무기를 모두 잃어버리고 빈 몸으로 돌아가게 되어 사실상 패전과 다름없는 피해를 입는다. 고려는 이 위기를 극복해내고 차근히 국력을 길러 9년 후 구주(귀주)에서 다시금 거란군과 일대 회전을 벌이게 된다.
고려와 거란 간의 전쟁을 다룬 소설은 총3부작으로 기획되었으며, 이 소설은 그중 2부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제1부의 제목은, <성상과 염윤>(993년도 거란의 1차 침공)
제2부의 제목은, <겨울에 내리는 단비>(1010년도 거란의 2차 침공)
제3부의 제목은, <구주대첩>(1011년부터 1019년도까지 계속되는 거란군의 침공)
목차
제1장 모루와 망치
一 드넓은 바다를 보다!
二 한기(韓杞)의 접근
三 포진(布陣)하는 거란군
四 거란군의 진군(進軍)
五 흥위위 군의 노래
六 교두보(橋頭堡)
七 공방전(攻防戰)
八 통군사 최사위의 작전계획
九 최사위의 공격군에 합류하는 구주군
十 고려군의 우회기습
十一 모루와 망치
十二 출진한 구주군과 항마군
十三 용만(龍灣) 남쪽의 구주 악귀군
十四 도령이 왔다!
十五 용만(龍灣)에서
十六 용만의 김숙흥
十七 흥화진 남쪽에서
十八 기회를 잡은 거란군
十九 구주로 돌아간 최사위
제2장 삼수채 회전
二十 강조의 검차진
二十一 삼수채 앞
二十二 거란군 작전회의
二十三 삼수채 회전(會戰)의 시작
二十四 검차(劍車)
二十五 거란군의 대공세
二十六 검차진 안에 들어온 거란군
二十七 우피실군(右皮室軍)
二十八 검차진(劍車陣)!
二十九 노정(盧?)과 백갑대(白甲隊)
三十 서숭(徐崧)과 노제(盧濟)
三十一 완항령(緩項嶺)
三十二 강조(康兆)
제3장 지키는 자와 떠나는 자
三十三 통주성
三十四 흥위위 초군 흥화진을 나서다!
三十五 흥위위 초군과 구주군
三十六 지키는 자와 떠나는 자
제4장 서경 공방전
三十七 애수진(隘守鎭)의 국밥
三十八 안주 함락 후 서경
三十九 강덕진으로 향하는 서경인
四十 노의와 유경
四十一 서경을 나가는 지채문
四十二 서경의 경치를 설명하는 조원
四十三 서경 안과 밖
四十四 지채문의 출격
四十五 법언(法言)
四十六 지채문의 재출격
四十七 조개여울에서
四十八 탁사정의 계획
四十九 야습(夜襲)
五十 동명왕(東明王)의 신사(神祠)
五十一 동명왕신(東明王神)의 굿
五十二 서경성 공방전의 시작
五十三 거란군의 총공격
五十四 총공격 후 거란진영
五十五 대도수(大道秀)
五十六 토성을 쌓는 거란군
五十七 서경의 항마갱(降魔坑)
五十八 조원과 강민첨의 대화
五十九 능동방어전술(能動防禦戰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