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지난 20여 년간 <불교신문>, <달마넷> 등을 통해 소개된 원철스님의 칼럼을 엮었다.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인생공부'라는 부제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에 수록된 글들은 불교적 성찰을 통해 얻은 삶의 자세를 보여준다. 저자는 절집 이야기와 풍부한 경전해석, 시공간을 뛰어넘는 선사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풀어내며, 인생을 아름답게 가꾸기 위해서는 성냄, 어리석음, 탐욕, 일체의 번뇌를 지운 베풂의 삶을 살아야 한다고 말한다. 타고난 얼굴이야 고칠 수 없지만 인생을 살면서 변해가는 얼굴에 대한 책임은 자기 자신에게 있다. 사소한 생활습관부터 인생관에 이르기까지 이 책이 전하는 조언을 통해 비움으로 가득 차는 삶의 지혜를 배울 수 있을 것이다.
목차
Part 1 욕심은 얼굴을 가난하게 만든다
해결과 해소 · 담판한 · 강한 줏대 · 뒷물결이 앞물결을 밀어낸다 · 이기심의 문에서 평등심의 문으로 · 하로동선 · 이해 충돌 · ‘참살이’ 그리고 ‘잘살이’ · 얼굴 가난 · 더불어 산다는 것은 · 마음을 바꾸면 인생이 변한다 · 출가 · 경구 한 구절 · 남에서 북을 치니 북에서 춤을 추네
Part 2 마음 부처
혜월선사의 경제 논리 · 열반의 의미 · 고승 · 떠남이라고 하는 것은 · 마지막으로 남길 말은 · 만남, 산문에 들어서서 · 겨울 그리고 봄 · 방외지사의 멋 · 짚신스님 · 출가와 가출 사이에서 · 무문관 결사 · 제일의 불사는 사람 불사 · 천상천하 유아독존 그리고 두 줄기의 눈물 · 마애불의 두 모습 · 봉암사의 꿈 · 쌍림열반상 · 장외인간과 방외지사 · 등불을 들고 종로 네거리에 서서
Part 3 나의 혀는 타지 않으리
이율배반 · 나의 혀는 타지 않으리 · 성철스님의 수행론 · 삼천배 백팔배 삼배 · 공간 비우기 그리고 마음 비우기 · 위험이 닥치거든 이 경전을 외우거라 · 삼보일배 · 머리를 바꾸어주십시오 · 부정과 긍정 · 나무를 심는 까닭은 · 도시 유목민 · 초심 · 관광여행과 구법여행 · 꽃도 너를 사랑할까? · 일찍 일어나는 새가 벌레를 잡는다 · 차에서 미륵을 만나니 · 어느 플레이보이 노인네 · 잘 받는 것도 보시다
Part 4 그릇에 따라 고이는 비의 양은 다르다
새 아침의 문을 열며 · 삼 때문에 금을 포기하는구나 · 어찌 귀만 소중히 생각하고 눈은 가벼이 여기는가 · 출가는 세간과의 단절 · 장군죽비 · 승려는 어디로 휴가를 가나 · 도시의 미아 · 내 몫의 등불 하나를 켜면서 · 납월 삼십일 · 기억과 기록 · 떡과 빵 · 그릇에 따라 고이는 비의 양은 다르니 · 강남 귤, 강북 탱자 · 갈대와 억새 · 능소화, 기생과 양반 사이에서 · 보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