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생활과 윤리’ 과목에서 한국?동양윤리사상의 비중은 왜 이렇게 적은가?’
‘생활과 윤리’ 과목은 내용을 구성하는 주제들에 대한 한국?동양윤리사상적 접근의 기초적인 연구물 자체가 없거나 미흡한 형편이다. 이번에 출간된 《‘생활과 윤리’ 동양윤리와 만나다》는 바로 이러한 상황과 문제의식에서 출판이 기획된 책이다.
이 책은 ‘생활과 윤리’ 6개 단원의 18개 세부 주제에 대하여 9명의 연구자가 단원 별로 고르게 필요한 주제를 선택해 집필한 책이다. 비록 ‘생활과 윤리’ 교과서에 수록된 주제 전부는 아니지만, 현실적으로 접근 가능한 여러 주제에 대해 한국?동양윤리사상적 관점에서 보다 체계적인 내용을 제공함으로써, ‘생활과 윤리’ 과목의 전통윤리적 부분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이 책이 계기가 되어 유사한 성격의 노력들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목차
제1장 현대인의 삶과 동양윤리사상
I. 삶의 문제와 동양윤리사상의 본질
II. 윤리문제에 대한 동양윤리적 성찰과 탐구
III. 현대의 윤리문제에 대한 동양윤리적 적용과 해결방안의 모색
제2장 동양사상에 나타난 생사관의 윤리적 의미
I. 머리말
II. 죽음의 철학적 · 심리학적 의미
III. 동서양의 생사관의 특성
IV. 동양사상의 생사관
V. 생사관의 윤리적 의미
제3장 유교적 부부관계에 대한 재조명
I. 올바른 부부관계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II. 유교적 부부관계에 대한 부정적 인식
III. 유교적 부부관계에 대한 재조명 노력
IV. 유교적 부부관계의 도덕교육적 활용 방안
V. 남은 과제들
제4장 사회정의의 기초, 유학에서 규정한 의(義)의 의미
I. 생명보다 귀한 가치, 의
II. 마음에 선험적으로 내재하는 도덕 준칙
III. 상황에 맞게 드러나는 중용 준칙
IV. 어진 마음에 기초하는 보편 준칙
V. 옳음을 위한 유일한 길, 수양과 덕치
제5장 직업과 청렴의 윤리
I. 장인(匠人) 정신과 직업윤리
II. 공자의 직업윤리
III. 맹자의 직업윤리
IV. 순자의 직업윤리
V. 공직자의 직업윤리와 청백리 정신
제6장 동양윤리 관점에서 본 과학 · 환경의 윤리교육
I. 들어가는 말
II. 과학 · 정보 · 환경에 대한 동양윤리적 접근
III. 선의 과학과 악의 과학
IV. 사람의 본성과 동물의 본성은 같은가 다른가
제7장 예술과 도덕: 유교의 예술론
I. 음악의 신 건달(乾達)을 아십니까?
II. 공자의 예술론: 인간다움[仁]의 실현 장치
III. 순자의 예술론: 선(善)으로 이끄는 인위(人爲)의 도구
IV. 《예기(禮記)》의〈악기(樂記)〉편: 유교 예술론의 집대성
V. 결 론
제8장 다문화사회에서의 종교적 공존과 관용
I. 다문화사회와 종교
II. 종교의 다양성과 공통성
III. 한민족의 원형적 정신과 계승
IV. 종교적 분쟁의 해소를 위하여
제9장 평화와 공존에 관한 동양윤리적 대안
I. 공존(共存)과 평화(平和)라는 화두(話頭)
II. 새로운 교육과정에서 ‘생활과 윤리’ 과목의 동양윤리적 배경 강화
III. 삶의 질서와 평화, 공존의 미학
IV. 평화와 공존을 위해 우리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