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미리보기
신소재 쫌 아는 10대
- 저자
- 장홍제 저/방상호 그림
- 출판사
- 풀빛
- 출판일
- 2021-11-30
- 등록일
- 2022-05-25
- 파일포맷
- PDF
- 파일크기
- 22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과학 쫌 아는 십대] 시리즈의 10번째 책나노재료화학 분야의 고수 장홍제 교수가 완벽하게 정리한 신소재의 모든 것소재를 만드는 열쇠를 찾아,그리고 신소재 발견의 꿈을 향해!‘더 높은 단계로 도약하는 열띤 과학 토론의 장’ 풀빛의 청소년 교양 과학 시리즈 [과학 쫌 아는 십대]의 10번『신소재 쫌 아는 10대: 석기부터 나노까지, 소재로 쌓인 문명의 탑』이 출간되었다. 『물질 쫌 아는 10대』와 『원소 쫌 아는 10대』를 통해 화학의 기본기를 다지게 도왔던 장홍제 교수가 이번에는 화학이라는 토대 위에서 공학의 영역인 소재와 재료 개발이 이루어지는 다채로운 과정을 『신소재 쫌 아는 10대』를 통해 흥미롭게 펼쳐 보인다. 편리한 현대 문명은 이름도 익숙지 않은 수많은 소재가 이룩해 왔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연필심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를 만들고, 모래가 전자기기의 핵심인 반도체가 되며, 평범한 광물로 알던 구조가 태양광 발전을 선도하고, 유기물이 뭉치고 또 뭉쳐져 플라스틱이라는 신소재를 만들어 냈다. 도대체 어떻게 이 많은 소재가 탄생하게 되었을까? 소재마다 쓰임이 다 다를까? 새로운 소재는 계속 만들어질 수 있나?이 책은 소재와 관련한 무궁무진한 호기심에 화학이라는 언어로 차근차근 답한다. 책을 펼치면 정말 흔하게 찾아볼 수 있던 원소들이 물리적 그리고 화학적인 원리와 관계를 통해 전혀 새로운 물질로 바뀌는 놀라운 장면이 등장한다. 그러면서 독자를 화학과 일상, 화학과 공학의 교차로로 안내한다. 독자는 이제 신소재 개발로 향하는 탐험선의 탑승구 앞에 섰다. 화학의 무한한 가능성의 영역, 일상과 가장 밀접하게 존재하는 친밀한 화학의 탐험선에 탑승할 승객을 『신소재 쫌 아는 10대』가 기다린다.
저자소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화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화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지아 공과대학교의 연구원으로도 활동했다. 현재 광운대학교 화학과 교수를 맡아 무기화학과 나노화학을 가르치고 있다. 다양한 원소로 이루어진 나노 물질 설계와 합성, 그리고 의약 분야에 대한 응용 연구에 매진하던 중 원소와 주기율표에 매력을 느껴 글쓰기와 강연을 하고 있다.
과학과 실험 속에 낭만이 살아 숨 쉬고 있다고 믿는 화학자이자 잡지식 수집가, 데스메탈 마니아,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World of Warcraft) 플레이어다. 좋아하는 것을 좋아한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니라 생각하기에, 평소 화학이 좋아서 화학을 공부한다고 당당하게 말한다. 화학에 빠져 계속해서 물질의 비밀을 탐구하지만 여전히 그 끝이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에 아름다움을 느낀다. 최근에는 세상에서 가장 작은 물질의 변화를 추구하는 나노화학을 연구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낮에는 논문을 쓰고 밤에는 책을 쓴다. 첫 책 『원소가 뭐길래』를 시작으로 『물질 쫌 아는 10대』, 『원소 쫌 아는 10대』, 『신소재 쫌 아는 10대』, 『진짜 궁금던 원소 질문 30』을 내놓으며 화학 대중화에 힘쓰고 있다. 『핵심 개념 화학』 등의 번역에 참여했고 나노재료화학 분야와 관련한 50여 편 이상의 국제 학술 논문을 게재했다. 전공과 교양의 경계에서 조금 어렵지만 의외로 간단하고, 약간은 따분하지만 사실은 흥미로운 화학에 대한 이야기를 깊은 곳에서부터 꺼내고자 고심한다. 그 외 저서로 『우리 집 구석구석 원소를 찾아라!』, 『주기율표를 읽는 시간』, 『화학 연대기』 등이 있다.
목차
〈과학 쫌 아는 십대〉를 펴내며소재를 만드는 열쇠를 찾아1. 원소에서 물질을 거쳐 소재까지무엇으로?보다는 어떤 식으로!원자에서 원소로, 그리고 물질로소재란 무엇일까?신소재가 바꿔 온 인류의 역사기준에 따라 소재를 분류해 보자2. 석탄보다 유용한, 다이아몬드보다 가치 있는 탄소 신소재 물질 변화의 당김쇠, 연소와 산화진짜 다이아몬드를 확인하는 방법탄소로 만들어진 점: 버크민스터 풀러렌점에서 선으로: 탄소나노튜브다시 흑연처럼 2차원 평면으로: 그래핀그래핀을 넘어서, 차세대 신소재들 3. 모래에서 탄생한 빛: 반도체 신소재 반도체란?반도체의 기본 원리: 에너지띠반도체,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떤 소재를 탄생시켰을까이렇게나 다양한 첨단 반도체 신소재들더 작은 세계, 반도체 양자점반도체 신소재의 미래4. 익숙하지만 낯선 신소재: 합금과 세라믹 합금의 기본: 금속결합왜 합금을 만들고 어떻게 구성되나첨단 합금 신소재들열적 안정성, 열처리, 세라믹태양광 발전의 시대를 연 페로브스카이트저온? 고온? 상온?: 초전도체 이야기5. 고분자 신소재와 플라스틱 코끼리와 상아를 보호하기 위해플라스틱은 왜 사랑받는가?열경화성 플라스틱과 열가소성 플라스틱바이오 플라스틱기능성 플라스틱 신소재들6. 나노과학과 나노소재들 보이지 않아도 분명히 있다나노소재는 가능성의 영역색, 빛, 그리고 전자기신소재로 쌓아 올리는 신소재나노 신소재의 활용 분야나노과학 이후엔 어떤 시대가신소재 발견의 꿈을 향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