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블록체인 기술의 실체가 무엇인지 명확히 설명해 주는 해설서다. 블록체인이 만들어지게 된 역사적 배경은 물론 그 작동 원리를 상세히 설명해 준다. 이를 통해 진정한 효용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수많은 블록체인들 중 가장 대표적인 비트코인, 이더리움 그리고 하이퍼레저의 작동 원리를 각각 설명 및 비교하고, 이들이 과연 어떤 효용을 가지고 있는 것인지 미래에는 어떨 것인지 명쾌한 해답을 던져 준다. 현재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관여하고 있거나, 도입을 검토 중인 회사의 일원이라면 반드시 읽어보기를 권한다. 또 블록체인 기술이라는 것이 도대체 무엇인지, 미래에는 어떠할 것인지 그 실체를 명확히 알고 싶은 모든 독자에게 명쾌한 해답을 줄 것이다.
저자소개
서울과학종합대학원 디지털금융 주임교수
한국금융연수원 겸임교수
인공지능연구원(AIRI) 부사장
- 금융위원회 연구모임 위원
-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규제자유특구 분과위원회’ 위원
- 과기정통부 우정사업본부 정보센터 네트워크 & 블록체인 자문위원
- 2021 금융발전유공 혁신금융부문 대통령표창
전) BNP 파리바 카디프 전무
전) 삼성생명 마케팅 개발 수석
전) 보험넷 Founder & CEO
전) LG전자 연구원
서울과학종합대학원 디지털금융 주임교수와 한국금융연수원 겸임교수를 맡고 있으며, 인공지능연구원(AIRI)의 부사장으로도 재직 중이다. 한국과학기술원 KAIST 전산학과 계산 이론 연구실에서 공부하고 공학을 전공한 금융 전문가로, 세계 최초의 핸드헬드-PC(Handheld-PC) 개발에 참여해 한글 윈도우 CE1.0과 2.0을 미국 마이크로소프트 본사에서 공동 개발했다.
1999년에는 전 보험사 보험료 실시간 비교 서비스를 제공하는 핀테크 전문회사 ㈜보험넷을 창업해 업계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후 삼성생명을 비롯한 생명 보험사 및 손해 보험사에서 CMO(마케팅총괄 상무), CSMO(영업 및 마케팅 총괄 전무) 등을 역임하면서 혁신적인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 총괄했다.
세계 최초로 파생상품인 ELS를 기초 자산으로 한 변액 보험을 개발해 단일 보험 상품으로 5천억 원 이상 판매되는 돌풍을 일으켰고, 매일 분산 투자하는 일 분산 투자(daily Averaging) 변액 보험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상품 판매 독점권을 획득했다. 인공지능연구원에서 머신러닝 기반의 금융 솔루션 개발에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 등에 다양한 자문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돈의 정체』(에이콘, 2021),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가상자산의 실체 2/e』(에이콘, 2020)과 대한민국학술원이 2019 교육부 우수학술도서로 선정한 『블록체인 해설서』(에이콘, 2019), 한국금융연수원의 핀테크 전문 교재인 『헬로, 핀테크!』(공저, 2020), 『헬로, 핀테크!: 핀테크 기반기술』(공저, 2021)이 있다.
한국금융연수원, 패스트 캠퍼스 등에서 인공지능,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블록체인에 관한 다양한 동영상 강연을 제공하고 있으며, MBC 100분 토론, MBC 스트레이트, KBS, SBS, SBS Biz, TBS, CBS 등에 출연해 가상자산과 디지털 금융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 바 있다.
목차
1장. 혼란의 시작 - 용어와 정의1.1 분산 대 탈중앙화1.1.1 일의 분산 대 일의 중복1.1.2 동등 대 지배1.2 디지털화의 효용 대 블록체인의 효용1.2.1 블록체인을 잘못 이해한 사례1.3 암호 화폐, 가상 화폐, 거래소 등1.3.1 디지털 화폐 대 암호 화폐1.3.2 암호 화폐 대 토큰1.3.3 거래소 대 브로커, 중개소1.4 디지털 자산1.5 노드, 피어, 트랜잭션 등1.6 트랜잭션2장.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기본 원리2.1 사이퍼펑크 2.2 비트코인의 탄생 - 2009년 1월 3일2.2.1 비트코인 최대 생산량 - 2,100만 비트코인2.2.2 블록체인이라는 고유명사2.3 블록체인의 기본 작동 원리2.3.1 완전 노드와 단순 지급 검증 노드2.3.1.1 완전 노드2.3.1.2 단순 지급 검증 노드2.3.2 블록체인의 작동 방식2.3.2.1 브로드캐스팅을 통한 전달2.3.2.2 리더 선출 - 누가 기록할 것인가? 2.3.2.3 신뢰의 부재 - 모든 노드의 검증2.3.3 비동기화 시스템에서의 탈중앙화 합의2.3.3.1 서로 다른 진실의 충돌2.3.3.2 서로 다른 진실의 통일 - 탈중앙화 합의2.3.3.3 거래의 안정성 - 확인2.3.4 블록의 구조2.3.4.1 블록 헤더2.3.5 트랜잭션2.3.5.1 UTXO2.3.5.2 코인베이스 트랜잭션2.3.6 이중 사용2.3.7 스마트 컨트랙트2.3.8 비트코인 지갑2.3.8.1 계정 관리를 위한 개인키/공개키 생성 및 관리2.3.8.2 비트코인 거래를 시스템에 제출2.3.8.3 비트코인 잔액 관리3장. 비트코인 블록체인 기반 기술3.1 해시 함수와 비대칭 암호화 기법3.1.1 SHA-256과 해시 퍼즐3.1.2 머클트리3.1.3 암호화 기법3.1.3.1 비대칭 암호화 기법3.1.3.1.1 개인키로 암호화 - 전자 서명3.1.2.1.2 공개키로 암호화 - 비밀 보장 및 신원 증명3.1.3 블록체인의 전자 서명과 비대칭 암호화3.2 작업 증명과 지분 증명3.2.1 작업 증명3.2.1.1 비트코인의 작업 증명 - 해시 퍼즐3.2.1.2 비트코인 해시 퍼즐3.2.1.3 해시 퍼즐의 난이도3.2.1.4 비트코인의 난이도 조절3.2.1.5 연쇄 해시를 이용한 비가역성3.2.2 지분 증명3.2.2.1 잃을 것이 없는 딜레마3.2.2.2 지분 증명의 안전성3.3 하드포크와 소프트포크3.3.1 과거에는 무효하던 규칙을 유효화 - 하드포크3.3.2 과거에는 유효하던 규칙을 무효화 - 소프트포크3.3.3 세그윗과 세그윗 2x3.4 51% 공격3.5 비잔틴 장군 문제와 블록체인3.5.1 고장 - 중단 모델3.5.2 비잔틴 장군 모델3.6 블록체인과 보안3.6.1 블록체인을 둘러싼 보안 환경3.6.2 블록체인 - 내재적 안전성3.6.3 비트코인 시스템 - 응용적 안정성3.6.3.1 코어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안전성3.6.3.2 기본 설계의 안전성3.6.3.2.1 해시 퍼즐과 난이도 조절의 결함3.6.3.2.2 인센티브 공학적 결함3.6.4 비트코인 지갑 - 개별적 안전성3.6.4.1 지갑 소프트웨어 자체의 문제3.6.4.2 지갑 사용자의 문제3.6.5 중개소 등 외부 환경 - 외재적 안전성4장. 이더리움 블록체인4.1 이더리움과 계정4.1.2 EOA - 기본 거래 계정4.1.3 계약 계정과 EVM4.1.4 개스4.1.4.1 개스라는 메타 단위4.1.5 이더리움의 블록 구조4.1.5.1 엉클 블록4.1.5.2 확장 머클트리 루트 데이터4.1.5.3 블록의 개스 조절4.1.5.4 로그 브룸4.1.5.5 제로 지식 증명4.2 이더리움 트리 구조4.2.1 확장 머클 패트리샤 트리 4.3 이더리움 해시 퍼즐 4.3.1 해시 퍼즐의 계산4.3.2 이더리움의 난이도 조절4.4 이더리움과 스마트 컨트랙트4.5 이더리움과 디앱4.5.1 디앱과 정보 노출의 딜레마4.5.1.2 인증 기반의 블록체인?4.5.1.3 하이브리드 시스템?4.6 샤딩과 지분 증명5장. 하이퍼레저와 블록체인5.1 하이퍼레저 패브릭5.1.1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기본 작동 원리5.1.2 패브릭 대 블록체인5.2 변종 블록체인과 내부자 위협6장. 블록체인 바로 알기6.1 탈중앙화6.1.1 중개인이 필요 없는 탈중앙화 플랫폼6.1.2 탈중앙화의 비용6.1.3 DAO와 탈중앙화의 허상6.1.4 The DAO 사건 - 탈중앙화의 민낯6.1.5 탈중앙화의 동의어는 통제 불능6.1.5.1 거대 채굴업자들6.1.5.2 암호 화폐 재단6.1.5.3 중개소6.2 ICO6.3 블록체인은 보안 도구가 아니다6.3.1 프라이버시 보호와 정보 보호6.3.2 해시 함수와 보안6.3.3 리스크와 보안6.4 블록체인은 핀테크 도구가 아니다6.4.1 오픈 플랫폼6.4.2 금융 규제 개혁6.4.3 개인 정보 활용 - 마이데이터6.5 블록체인은 데이터베이스가 아니다6.6 블록체인과 인센티브 공학6.7 중앙화된 블록체인6.8 블록체인의 3대 위협 요소6.8.1 블록체인 데이터 크기6.8.2 시스템의 독점6.8.3 양자 컴퓨터6.8.3.1 암호와 해시는 반드시 풀린다7장. 블록체인과 상생 경제7.1 토큰 이코노미의 부각7.2 상생 경제와 블록체인7.3 개념과 구현의 분리7.3.1 블록체인과 빅데이터7.3.2 일회용 블록체인 7.3.3 블록체인과 범용성7.4 블록체인과 공포 마케팅7.5 기술 대 콘텐츠마무리하며부록 1. 비트코인 블록의 구조부록 2. 해시 퍼즐 개념 설명부록 3. 비트코인 주소부록 4. 트랜잭션 스크립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