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웹툰은 만화와 다르다. 언어와 문법의 측면에서는 유사하지만, ‘창작-제작-유통-소비’로 연결되는 생태계적 측면에서는 완전히 다른 매체다. 따라서 인쇄 매체와 디지털/인터넷 매체의 차이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웹툰을 이해해야 한다. 이 책은 웹툰이 어떻게 새로운 매체로 탄생했는지, 어떤 매체적 특징을 갖고 있으며, 창작의 특징은 무엇인지 알려준다. 웹툰을 처음 접하는 학생과 이를 직업이나 연구 대상으로 삼고자 하는 이들에게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입문서가 될 것이다.
저자소개
서울웹툰아카데미 이사장이다. 만화 없이 24시간 이상 버티기란 상상할 수도 없는, 만화를 그리지는 못하지만, 누구보다 만화를 사랑하는 만화 마니아다. 광운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 광운대 대학원을 졸업했다. 1995년 「스포츠서울」 신춘문예 만화평론 부문에 당선되면서 만화평론가로 등단했으며 현재 청강문화산업대학 만화창작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만화평론가, 만화창작학과 교수, 만화 기획자로 숱한 만화와 애니메이션을 보다 접하니 자연히 만화 강국, 전 세계 캐릭터 산업을 주무르는 나라 '일본'에 관심이 갔다. 처음에는 만화에만 국한된 눈으로 일본을 보다가 점차 그 안에서 애니메이션, 영화, 장난감, 테마파크, 한도시의 경제를 이끄는 동력으로 넓혀 하는 '일본 서브 컬처'의 힘을 발견했다. 바로 그 서브컬처라는 프리즘을 통해 바라본 일본의 자연, 도시, 시골, 사람, 문화, 예술, 역사를 담아 만화공화국 일본 여행기를 펴냈다.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SICAF) 큐레이터 겸 코디네이터, 2000년 서울프리에니메이션영화제 기획·진행, 2003년 프랑스 앙굴렘 국제만화페스티벌 한국 만화 특별전 공동 큐레이터로 활동했으며, 한국만화복간프로젝트를 기획해 이두호 『객주』, 박흥용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길창덕 『꺼벙이』, 윤승운 『두심이 표류기』를 출간했다. 저서로는 『만화를 위한 책』, 『아니메가 보고 싶다』, 『누가 캔디를 모함했나』, 『박인하의 즐거운 만화가게』, 『꺼벙이로 웃다, 순악질 여사로 살다』, 『아니메미학 에세이』, 『장르 만화의 세계』, 『골방에서 만난 천국-박인하의 만화풍속사』, 『월트 디즈니 VS 미야자키 하야오』 등이 있다.
목차
1부 개념과 역사01 만화 역사와 디지털 만화 / 박인하시대에 따른 만화 생태계의 변화 디지털 만화의 개념 디지털 만화의 등장 인터넷 인프라의 확대와 디지털 만화의 새로운 시도 02 웹툰의 등장과 변별적 특성 / 박인하웹툰의 정의 웹툰의 개념과 특징 기술적 측면에서 웹툰의 변별성 연출적 측면에서 웹툰의 변별성 소비적 측면에서 웹툰의 변별성 03 기술 발전과 웹툰 / 이재민 PC 시대 디지털 인프라와 웹툰 : 플래시와 BGM ‘유료 웹툰’의 시대 : 결제 기술 스마트폰 시대 사라졌거나 살아남거나 : 스마트툰, 무빙툰과 컷툰 늘어난 분량 : 스케치업과 3D 모델링 인공지능과 웹툰셀시스, 어도비와 엔비디아 네이버웹툰의 WEBTOON AI 큐레이션과 푸시 알람 04 유료 웹툰 플랫폼의 등장 / 조경숙 웹툰 수익 모델의 등장 유료 웹툰 플랫폼의 등장레진코믹스의 시작 남성향 웹툰 유료 플랫폼: 탑툰, 투믹스 카카오페이지의 부상 글로벌 대기업의 웹툰 플랫폼, 코미코 국내 최초의 여성향 웹툰 전문 플랫폼, 봄툰 리디북스와 BL 웹툰 플랫폼 유료 웹툰 플랫폼의 성공과 쇠락 사이 05 웹툰 IP와 글로벌 확장 / 이재민 웹툰의 IP 확장웹툰의 OSMU-IP 확장 OTT 서비스와 웹툰 합종연횡과 투자네이버의 투자와 네이버웹툰, 그리고 슈퍼캐스팅 카카오엔터의 합병과 투자 현황 키다리스튜디오의 레진코믹스 인수, 탑툰 등 2부 서사와 소비06 한국의 인터넷 문화와 웹툰 / 이재민 인터넷 문화의 시작디시인사이드와 카툰-연재 갤러리 포털 중심 웹툰 플랫폼의 등장 ‘차도남’과 ‘엄친아’ 스마트폰의 등장과 웹툰‘합성 필수 요소’와 컴퓨터 성능 스마트폰의 등장 네이버웹툰의 ‘글로벌 진출 원년’ 07 웹툰 1인칭 서사의 특성 / 이재민 대중의 등장전통적 의미의 대중과 만화 한국 대중문화의 황금기와 대중 웹툰의 1인칭 서사와 생활툰방구석 폐인과 잉여 인간 고도화된 일상툰, 여성 서사와 소셜미디어 08 웹툰의 장르 중심 소비 / 조경숙 서사 소비 방식의 변화 서사별 특징탈성장 ‘사이다’ 서사 자전(자기 고백) 서사 회귀 · 빙의 · 환생 서사 안티 클리셰 서사 시대에 조응하는 웹툰 서사3부 웹툰 창작09 웹툰 연출의 특징 / 성인수 연출에 정답은 없다 정보의 나열 컷의 정보량 시선 페이지 만화의 영향 웹툰 연출의 발견 실전 10 웹툰과 저작 도구 / 성인수 도구는 편하라고 만든 것 가장 중요한 것은 저장과 백업 도구의 변천사 스케치업 도구가 작가를 자유롭게 한다 11 웹툰과 자율 규제 / 박인하 미디어와 규제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웹툰 유해 매체 지정 표현의 자유와 규제 웹툰에서 자율 규제의 도입과 전개 12 웹툰과 분쟁 / 조경숙 웹툰 산업의 성장과 분쟁 창작자-플랫폼: 계약과 노동 처우 분쟁 사례레진코믹스 지각비 및 블랙리스트 사건 케이툰 전송권 반환 분쟁 창작자-독자: 혐오 표현과 윤리적 비판웹툰 〈뷰티풀 군바리〉 성적 대상화 논란 일상툰에서 일어난 인격 비하 및 인신공격 웹툰 작가의 사회적 책임과 독자의 윤리 부록 1. 웹툰 연령 등급 분류를 위한 자가진단표 부록 2. 웹툰 플랫폼과 주요 기업 관계사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