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소개
1972년 부산수산대학교 어업학과를 졸업했다. 1985년 고려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1990년 고려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1985-1991년 경찰대학 경찰학과 교관, 1987-1988년 고려대학교 경상대학 행정학과 강사, 1990-1991년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강사, 합천, 부산남부, 거제, 서울은평, 김포경찰서장, 경찰청 외사수사과장, 경찰종합학교 교무과장,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채용시험 출제위원(수사1, 경찰학개론), 한국경찰이론과 실무학회 부회장, 편집위원장을 역임했다.
현재 탐라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탐라대학교 기획처장이다. 저서, 역서로는 『조직행동론』, 『경찰행정학』, 『경찰학개론』, 『범죄수사학 총론』, 『정책형성과정론』, 『경찰윤리학』, 『현대범죄학』이 있다.
목차
제3판 머리말/3개정판 머리말/5초판 머리말/6제1편이론 윤리학 15제1장 경찰윤리에 대한 개관 17제1절 경찰윤리에 대한 일반적 고찰 171. 디지털 시대의 경찰윤리 탐구/172. 경찰윤리 교육의 의미/303. 경찰윤리의 학문적 특성/354. 경찰윤리의 필요성/415. 경찰업무의 특수성에서 접근한 경찰윤리/47제2절 경찰윤리에 대한 개념적 논의 541. 윤리학의 개념/552. 윤리의 개념/573. 경찰윤리의 개념/67제2장 경찰윤리의 철학적 기초 69제1절 인간에 대한 이해 691. 플라톤의 이성적 인간/702.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설/733. 이기심과 이타심/754. 미적 인간과 윤리적 인간/815. 불안과 양심/86제2절 인간의 존엄성 881. 인간중심 사상/882. 계몽주의 사상과 도덕명령의 제2정식/913. 인간의 자존심과 수치심/93제3장 윤리어의 의미분석 97제1절 견해의 다양성 971. 윤리어의 개념적 모호성/972. 지시적 의미론과 의사전달적 의미론/983. 인지주의와 자연주의 그리고 직관주의/99제2절 자연주의의 견해 1011. 선악에 대한 견해/1012. 옳음에 대한 견해/104제3절 직관주의의 견해 1041. 무어의 견해/1042. 로스의 견해/110제4절 비인지주의(정서주의) 1151. 러셀의 정서주의/1152. 스티븐슨의 도덕적 대화/118제4장 경찰윤리와 윤리사상 123제1절 서언 123제2절 서양의 윤리사상 1251. 목적론(teleology)/1252. 공리주의/1293. 의무론(deontology)/1434. 칸트(Imannuel Kant)의 도덕법칙론/1485. 자연주의 윤리/1576. 흄의 도덕감정론/176제5장 동양의 윤리사상 185제1절 유학과 윤리사상 1851. 유학의 특징/1852. 유학의 윤리사상의 기초/187제2절 노자의 무위자연 사상 2091. 도란 무엇인가?/2092. 무위의 덕/2113. 무위(無爲)의 정치/213제3절 불교의 윤리사상 2141. 서언/2142. 연기론(緣起論)/2153. 사성제(四聖諦)/2184. 삼법인(三法印)/2215. 자비/2236. 불교와 윤리/224제4절 실학적 목민사상과 경찰윤리 2261. 서언/2262. 다산의 사상/2273. 목민관의 공직원칙/234제6장 사회정의론적 윤리관 243제1절 개관 243제2절 고전적 정의관 2451. 플라톤/2452. 아리스토텔레스/247제3절 기독교적 정의관 2501. 신 중심의 세계관/2502. 사랑의 미덕/2503. 개인주의적 만민평등사상/253제4절 롤스의 공정으로서의 정의관 2571. 롤스의 정의론과 의무론적 윤리관/2572. 이론적 배경과 전제/2583. 정의의 두 원칙/2614. 제1원칙의 우선성과 차등원칙의 윤리성/2635. 경찰행정과 정의의 두 원칙/264제2편실천 윤리학 267제7장 경찰윤리의 기준에 대한 논의 269제1절 경찰윤리 기준에 대한 성찰 269제2절 행위규범으로서의 윤리 기준 2711. 법규범/2712. 도덕률/2773. 보편적인 도덕원리/294제3절 악법에 대한 철학적 논쟁 3031. 악법과 윤리/3032. 악법에 대한 학설의 대립/3043. 저항권 행사와 경찰의 태도/306제4절 경찰문화와 경찰윤리 3081. 냉소주의/3082. 회의주의/309제5절 바람직한 경찰의 역할 모델 3101. 범죄와 싸우는 경찰 모델/3102. 치안 서비스 제공 모델/311제6절 경찰의 전문직업화 3111. 의의/3112. 장점 및 단점/312제8장 경찰의 일탈과 부패 313제1절 작은 호의와 경찰부패에 대한 논의 3131. 미끄러지기 쉬운 경사로 논쟁/3132. 부패의 개념정의/315제2절 부패의 유형 3171. 백색 부패/3182. 흑색 부패/3183. 회색 부패/318제3절 경찰부패의 원인 3191. 전체사회 가설/3192. 구조적 원인가설/3203. 썩은 사과 가설/320제4절 경찰부패에 대한 내부고발 3211. 의의/3212. 내부고발의 개념/3213. 내부고발의 정당성의 요건/3224. 경찰의 사회화 과정의 특징/323제5절 사회계약설과 바람직한 경찰활동의 기준 3241. 공정한 접근/3242. 공공의 신뢰확보/3253. 시민의 생명과 재산의 안전보호/3264. 협동/3275. 냉정하고 객관적인 자세/328제9장 경찰윤리강령 329제1절 전문직업화와 윤리강령 3291. 경찰윤리강령/3292. 경찰윤리 교육의 목적/331제2절 경찰윤리강령의 변천과 기능 3311. 경찰윤리강령의 변천/3312. 경찰윤리강령의 기능/3333. 경찰윤리강령의 문제점/335제3절 경찰윤리강령 관련 법령 3371.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3372. 경찰청 공무원 행동강령/3433. 경찰의 적극행정/3534. 공직자의 이해충돌방지법/357제10장 경찰공무원의 충성 367제1절 경찰조직과 충성 3671. 의의/3672. 충성의 개념/3693. 충성의 특징/370제2절 충성의 대상 3701. 국가와 민족에 대한 충성/3712. 자신의 신념에 대한 충성/3723. 조직에 대한 충성/3744. 특정 개인에 대한 충성/375제3절 의리와 충성의 관계 3761. 의리와 충성/3762. ‘의’군(義群) 덕목들의 특징/377제11장 경찰조직과 책임 383제1절 서언 383제2절 행정책임에 대한 논의 3851. 행정책임의 개념/3852. 행정책임의 특성/387제3절 행정책임의 기준 3931. 명문규정의 책임기준/3932. 명문규정이 없을 때의 책임기준/394제4절 경찰조직과 경찰인의 책임에 대한 분석 3961. 분석모델/3962. 조직행위와 개별책임의 딜레마/399제12장 경찰조직과 사생활 403제1절 서언 403제2절 공직자의 사생활에 대한 사상적 논의 4041. 고대 철학자들의 견해/4042. 계몽주의 사상/4053. 밀의 자기관련적 행위론/408제3절 경찰인의 사생활 존재여부에 대한 논의 4111. 시민과 균등한 사생활권에 대한 논거/4112. 경찰관 사생활의 제약근거/4153. 결어/421참고문헌 425찾아보기 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