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미리보기
응용스포츠심리학
- 저자
- 배준수,임태희,양윤경,우승환 저
- 출판사
- 박영사
- 출판일
- 2024-09-30
- 등록일
- 2025-03-27
- 파일포맷
- PDF
- 파일크기
- 28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응용스포츠심리학은 스포츠 및 운동 상황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마음을 다룬다. 그래서 이론의 이해와 활용이 매우 중요한 학문이다. 응용학문에서 다루는 모든 이론은 현장에서 활용될 때 비로소 가치가 있다. 이 때문에 학자들은 심리 이론과 현장의 틈새(reserach-practice gap)를 줄이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점차 좁혀질 것만 같았던 간극은 여전히 그 격차가 줄어들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결국 스포츠심리학자들은 ‘연구를 위한 연구’를 하는 모양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스포츠 현장 코치와 지도자들은 자신의 ‘경험적 지식’을 맹신함으로써 지식과 과학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더욱이 스포츠 환경에서는 이 두 관점의 격차가 좁혀지고 함께 어우러져 상승효과를 만들어낼 것이라는 통섭의 의미마저도 시들해지는 모양새다. 이 책은 그러한 희망의 불씨를 이어가려는 노력으로 집필되었다.책의 구성은 스포츠 현장에서 다루는 핵심 심리 이론과 심리 기술을 주로 다루었다. 1장에서는 스포츠심리학의 전반적인 개념을 이해한다. 그리고 2장부터 9장까지는 동기, 목표설정, 불안, 심상, 주의집중, 자신감, 리더십, 그리고 의사소통 등에 대해 집필했다. 10장은 스포츠와 삶의 교차점을 찾아가는 ‘긍정적 유소년 발달’ 이론과 최근 연구 동향을 소개하였다. 스포츠가 앞으로 어떤 가치를 지향해야 하는지, 그리고 스포츠심리 기술들이 삶에서 어떤 가치로 활용될 수 있는지 이 장을 통해 밝혀두었다. 마지막 11장은 광의의 스포츠심리학 중 응용스포츠심리학 내용으로 적합한 운동기술과 학습을 소개하였다. 어렵고 딱딱한 이론이지만 누구나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집필했다.
저자소개
대학 시절까지 태권도 선수로 활동한 후 은퇴하여 스포츠심리학 분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국립안동대학교 연구교수와 한국스포츠심리학회 자격관리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이론과 현장의 조화를 추구하는 연구를 수행 중이고 태권도, 축구, 골프, 아이스하키, 탁구, 경륜 등 다양한 종목의 선수들과 지도자들을 만나 스포츠심리학을 현장에 접목하고 있다. 그의 연구는 국내외 학술지에 45편 이상의 논문으로 발표되었다. 주요 저서로는 『스포츠 심리학』과 『태권도로 배우는 실천인성』이 있다.
목차
Chapter 01 스포츠심리학의 이해 The Understanding of Sport Psychology이해하기 21. 스포츠심리학의 개념 22. 스포츠심리학의 역사와 배경 53. 세부 영역과 역할 9해보기 17돌아보기 19참고문헌 22Chapter 02 동기 Motivation이해하기 241. 동기의 개념 242. 동기의 세 가지 관점 263. 통합 동기 모델 304. 동기유발 전략 395. 운동 참여를 높이기 위한 사회촉진 전략 416. 강화와 처벌 46측정하기 56해보기 59돌아보기 61참고문헌 65Chapter 03 목표설정 Goal setting이해하기 681. 목표의 개념 682. 목표설정의 효과 733. 목표설정 이론과 원리 76측정하기 86해보기 88돌아보기 93참고문헌 97Chapter 04 각성, 불안, 그리고 스트레스 Arousal, Anxiety, and Stress이해하기 1021. 각성과 불안 1022. 각성과 불안 그리고 수행의 관계 1073. 스트레스 114측정하기 122해보기 127돌아보기 129참고문헌 132Chapter 05 심상 Imagery이해하기 1361. 심상의 개념 1362. 심상의 활용과 효과 1393. 심상의 원리 1424. 효과적인 심상 훈련 전략 146측정하기 153해보기 155돌아보기 160참고문헌 163Chapter 06 주의집중 Concentration이해하기 1681. 주의집중의 개념 1682. 주의집중 이론 1753. 주의집중의 네 가지 유형 183측정하기 186해보기 188돌아보기 192참고문헌 195Chapter 07 자신감 Confidence이해하기 1981. 자신감의 정의 1982. 자신감의 특성 2003. 자신감의 효과 2044. 자신감 이론 2075. 자신감 향상 전략 214측정하기 218해보기 220돌아보기 223참고문헌 227Chapter 08 리더십 Leadership이해하기 2301. 리더십의 정의 2302. 리더십 연구의 접근 방법 2323. 스포츠 리더십 이론 2374. 효과적인 리더십의 조건 242측정하기 249해보기 252돌아보기 255참고문헌 259Chapter 09 의사소통 Communication이해하기 2621. 의사소통의 정의 2622. 스포츠에서의 의사소통의 역할 2653. 의사소통의 종류 2674. 스포츠 의사소통 모델 277측정하기 290해보기 294돌아보기 297참고문헌 300Chapter 10 스포츠를 통한 유소년 발달 Youth development through sport이해하기 3041. 긍정적 유소년 발달 3042. 라이프스킬 3123. 라이프스킬의 전이 3214. 라이프스킬 코칭 329측정하기 335해보기 340돌아보기 342참고문헌 346Chapter 11 운동학습 Motor learning이해하기 3521. 운동기술의 개념 3522. 운동기술의 분류 3533. 운동학습의 개념 3584. 운동학습의 원리 3595. 효과적인 운동학습 방법 367해보기 379돌아보기 382참고문헌 385부록전문·생활스포츠지도사 기출문제 390[2022 기출문제] 390[2023 기출문제] 398[2024 기출문제] 407[기출문제 정답] 415저자 소개 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