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쏜살같이 흘러간 시절의 언어들을 불러 / 모아 읽는 것은 눈물겹다. / 시의 단어와 자간, 행간이며 여백에 / 숨어 있는 삶의 꿈과 아픔이 저마다 / 풀뿌리처럼 파고들기 때문이다. / 지나간 내 삶의 흔적들을 그대로 / 보여주는 내 시의 자서전에서 내가 / 다시 추려낸다는 것은 그런 의미에서 / 내가 다시 나를 정리하는 일이라고 / 본다. / 말하자면 『햇볕에 익히고 달빛에 삭히며』 / 2014년에 그려낸 내 영혼의 자화상이다.
― 심재칠, 시인의 말(책머리글) <자화상>
	 
	
		목차
		시인의 말 | 자화상 
제1부  내게 와 닿는 손길 하나 
꽃 속에 내가  
냉이꽃  
들꽃  
찔레꽃  
목련화 꽃망울  
능소화  
죽서루  
입추  
천은사의 가을  
국화꽃이 피었습니다  
개망초  
초겨울 비  
대관령 설향 
제2부  우체통을 걸어두며 
밤에 쓰는 시  
매실주 한 잔에  
우체통을 걸어두며  
우체통에 기대어  
도계 전두시장 할머니  
우리 집 찾아오는 길  
춘우소야(春雨消夜)  
대폿잔에 어린 우정  
그리운 벗에게   
섭씨 38도의 하루  
가을  
7번국도 묵호항 
제3부  손때 묻은 시간들 
명자나무 꽃  
허난설헌 생가에서  
선술집  
저녁밥  
이별  
외로움  
레일바이크  
따발이 굴  
내 본명은 명태다  
어물전 사리  
오징어  
제4부  오래 된 문자 
이끼폭포  
다시 이끼 폭포 아래서  
오색 흘림 골  
오산리 갈대  
연꽃  
억새풀  
설악 만추  
부들 꽃  
별  
무릉선원 신선봉  
대청봉 운무  
노을 진 낙산사  
초동강풍(初冬江風) 
제4부  자작나무 숲 
앵두  
구애접무(求愛蝶舞)  
설한국화(雪寒菊花)  
설국(雪菊)  
20년 가꾼 소사나무 분재  
백일홍 아래서  
대관령 옛길 폭포 아래서  
파도  
자작나무 숲  
입춘전야(立春前夜)  
소우(笑牛)  
문전옥답  
  
제5부  아이들의 눈 
봄이 오는 소리   
봄눈  / 88 봄의 정령  
염천(炎天)   
아이들의 눈  
시소  
선생님 함께 날아요  
개학  
설흔(雪痕)  
학교에 가면  
탄광촌 학교 
제6부  시루에 대한 편견 
구름의 방  
딱따구리   
담쟁이 
거미 
허수아비  
태풍의 눈  
죽절충(竹節蟲)  
이끼  
물  
마중물  
팔려가는 소나무  
시루에 대한 편견 
제6부  보헤미아 평원을 달리며 
용추폭포  
미인폭포  
프라하   
보헤미아 평원을 달리며  
비엔나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생가에서  
동유럽 가는 구름 위에서  
등   
보리수염  
내시경  
2018 동계올림픽 시원(始原)의 해를 맞이하여  
메주 
살며 생각하며  
살다보면 
□ 해설 
자연에 대한 서정, 인간에 대한 소박한 아름다움이 함께 하는 시편들 _ 남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