겹겹 그리움에
수필은 추억을 쓰는 글이다. 자신의 상념 속에 머물러 있는 추억을 사상과 감성으로 여과시켜 표현의 미학으로 형상화 한 것이 수필이다.
여기서 표현의 미학이라 함은 바로 문장력을 의미한다. 아무리 해박한 지식이나 풍부한 체험요소를 가졌다 하더라도 문장력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좋은 수필이라고 할 수는 없다.
깊은 사유와 통찰력으로 빚어낸 글, 간결 평이하면서도 진솔함이 배어있는 문장 속에는 감동의 샘물이 흥건하게 고이기 마련이다. 따라서 독자는 이러한 작가의 내면을 들여다보며 감정이입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이미선 수필가는 문장의 묘미를 터득한 원숙한 수필가라 할 수 있다. 무리 없는 문장과 절제된 표현기법이 호감을 자아낸다.
이렇듯 좋은 수필이란 어렵게 쓰고 쉽게 읽혀야 한다. 문단의장(文短意長)이라는 말이 있듯이 누구나 쉽게 이해하되 감동은 오래 마음속에 남아있어야 좋은 글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미선 수필가의 글은 쉽게 읽힌다. 하지만 그 행간에 숨어있는 의미는 자못 심장(深長)하여 앞으로 더 좋은 글도 보여줄 수 있다는 저력의 암시라고 할 수도 있다.
전자책 수필집을 출간을 마음으로부터 축하하며, 이것을 계기로 독자들의 심금을 울릴 훌륭한 작품이 계속 발표되기를 기대한다.
김병권(수필가. 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 역임)
판권 페이지
이미선 수필집 <겹겹 그리움에>
이미선 수필가
추천사
책을 내면서
경주를 다녀와서
안국역을 돌아보다
인터넷 인연
어느 여름날 이야기
가족사진입니다.
길상목(吉祥木) 회화나무
미돌이와 잉어
보물들에게 쓰는 편지
풍경사진
운현궁에서 흥선대원군을 만나다
전원일기
그리운 아버지
삼척 촛대바위를 다녀와서
어릴 때 사진
병신년에 새로 태어나다
미돌이 이야기 2
인연의 소중함
사람과 사람사이
사진
기이한 인연
선입견에 대하여
봄의 축복
이지선의 ‘감사하기’
내 생애 잊을 수 없는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