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의 정치학, 뚜르게네프소설연구
러시아 소설가 뚜르게네프의 소설에 대한 연구서.
70년대 후반 데모가 판을 치던 막막한 잿빛이던 시절, 저자는 우연히 이 책을 만났다고 한다. 뚜르게네프의 소설에는 작가의 본성과 교육이 정치를 경멸하게 하지만 거의 여성적인 감수성 때문에 정치에 직접 참여하지도 못하고, 또 정치와 절연하지도 못한 채 정치 세계의 주위를 뱅뱅 돌 수 밖에 없는 한 교양인의 곤혹이 반영되어 있다. 저자는 흑백 논리가 지배하는 당대 러시아의 현실에서 방황하고 괴로워하는 뚜르게네프의 주인공들의 비극 속에서 자신을 발견했다. 그래서 탄생한 것이 '소설의 정치학'이다.
1부에서는 19세기 전제주의적 러시아에서 정치 사회적인 문제가 찌꺼기 없이 완전히 예술로 승화되어 있는 뚜르게네프의 소설들이 어떻게 이념 비평의 희생이 되었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뚜르게네프 주인공들의 전형성 문제와 주인공에 대한 작가의 태도를 분석하였다. 2부에서는 뚜르게네프 예술 세계의 특징을 폭 넓게 살펴 보고자 뚜르게네프의 언어와 문체, 창작의 특징과 연구 현황 등을 다루었다.
전공자가 아닌 일반인들을 위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뚜르게네프의 생애와 연보, 뚜르게네프 연구를 위한 참고문헌도 실었다.
고려대 노어노문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문학박사)하고, 한양대 중소연구소 연구원, 고려대 강사,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고리끼 세계문학대학 연구교수로 역임하였다.
현재는 단국대학교 노어노문학과 교수로 있으며 저서로는 <뚜르게네프:사냥꾼의 눈, 시인의 마음>, <소설의 정치학>, <러시아 문학개론>(공저), <러시아 문화의 이해>(공저)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러시아 문학사 1,2>, <러시아 문학비평사>, <러시아의 작가와 사회>, <톨스토이가 쓴 어린이를 위한 이야기 1,2,3>, <푸쉬킨 동화집>등이 있다.
책머리에
서론:정치 소설을 읽는 기쁨과 괴로움
제1부 뚜르게네프 소설의 정치학
9세기 러시아 문학에 나타난 농민 테마-「사냥꾼의 수기」를 중심으로
한 잉여인간의 죽음: 「루진」
한 슬라브주의적 이상주의자의 비극: 「귀족의 보금자리」
새로운 생활의 예언자들: 「전날 밤」
한 니힐니스트의 비극과 죽음: 「아버지와 아들」
연기 속의 논쟁과 길 찾기: 「연기」
'브 나로드 운동'과 솔로민 형성의 문제: 「처녀지」
제2부 뚜르게네프의 예술세계
창작의 특성과 '뚜르게네프학'의 현상
언어와 문체
'신비한 이야기들'의 사학과 해석과 문제
생애와 연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