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 저자
- 원우현 외
- 출판사
- (전송권없음/교체용)박영사
- 출판일
- 2002-08-30
- 등록일
- 2017-06-20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3MB
- 공급사
- 웅진OPMS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국내외로 미디어 기술발전을 토대로 축적된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 영역이 인터넷의 새로운 영역과 연계되고 확대되어 새로운 학문영역을 구축함으로서 이를 뒷받침하는 새로운 이론을 개발하고 축적하는 작업이 필요하여 국내외에서 활발히 전개되어온 뉴미디어 발전에 따른 정보매체와 정보사회를 조명하고 사회 각 분야에 침투되어 일상생활과 생활의식 속에 자리잡은 인터넷의 영역을 기존의 관련자료와 문헌을 수집하고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목차대로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원리와 관련하여 인터넷과 디지털 세계,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인터넷 발전과 정보사회, 인터넷과 매스미디어, 인터넷 콘텐츠, 인터넷과 사회 등을 기본 chapter로 살펴보았고 신문, 방송, 광고, PR, 전자 상거래 분야에서도 기존 매스미디어 뿐 아니라 인터넷 영역의 그 실체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인터넷 산업이나 인터넷 법제, 인터넷 방송국의 케이스 뿐 아니라 인터넷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첨부했다.
우리의 관심은 정보기술로 인한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사이버 공간, 가상현실 등의 이름으로 디지털 세계가 무한대로 펼쳐지는 상황일수록 인간(人間)이 <사람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하여 그 존엄성을 향유할 수 있다는 평범한 진리를 확인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저자소개
서울대 법대 졸(법학사)
미국 보스턴 대학원 졸(언론학 석사, 박사)
한국 언론학회 회장
한국 PR협회 회장
한국 언론법학회 회장
현재 고려대 언론학부 교수
저서로는 인터넷 커뮤니케이션론 현대미디어 이론 외 다수
<b>이광엽</b>
전남대학교 영문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언론학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언론학 박사과정 재학
YTN 보도국 국제부 기자
<b>오종환</b>
고려대 신문방송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
고려대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박사과정
현 경성대 멀티미디어대학 신문방송학과 교수
<b>남종훈</b>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 졸업
미국 오하이오 대학교(Ohio University) 텔레 커뮤니케이션 석사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과정
현재 동신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b>정만수</b>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미국 플로리다대학교 (University of Florida) 언론학 석사
미국 미주리대학교 (University of Missouri) 광고학 박사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교수
<b>안보섭</b>
고려대학교 대학원 방송학 전공(M.A.)
Boston대학교 대학원 PR학 전공
Boston대학교 대학원 Communication Ph.D(PR학 전공)
현 숙명여자대학교 언론정보학부 홍보기획학 전공 교수
<b>강명현</b>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
미국 미시건주립대학교(Michigan State University) 언론학 박사
현재 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교수
<b>박종민</b>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졸업, 동 대학원 언론학 석사,
미국 미주리 주립대학교 광고홍보학 석사, 언론학박사(광고홍보전공)
현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부 조교수
<b>노기영</b>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
텍사스대학교(오스틴), 방송영화학 석사
미시간 주립대학교, 신문방송학 박사
현 한림대학교 인터넷미디어전공 주임교수
<b>정윤식</b>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현 강원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b>박천일</b>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
미국 오하이오 대학교 언론학 박사
현 숙명여자대학교 정보방송학과 부교수('96-현재)
목차
제1부 인터넷과 디지털 세계
제1장 인터넷 커뮤니케이션의 특징 (원우현)
제2장 디지털시대의 디지털 문화 (원우현)
제2부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제3장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CMC) (원우현)
제4장 사이버공간(Cyberspace)과 커뮤니케이션 (원우현)
제3부 인터넷 발전과 정보사회
제5장 가상현실(Virtual Reality)과 가상경험 (원우현)
제6장 인터넷 발전과 정보사회 (원우현)
제4부 인터넷과 매스미디어
제7장 인터넷과 신문 (이광엽)
제8장 인터넷과 방송 (오종환)
제9장 인터넷 방송국 설립과 운용 (남종훈)
제5부 인터넷 콘텐츠
제10장 인터넷과 광고 (정만수)
제11장 인터넷과 PR (안보섭)
제12장 인터넷과 전자상거래 (강명현)
제13장 인터넷과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박종민)
제6부 인터넷과 사회
제14장 인터넷과 산업 (노기영)
제15장 인터넷과 법제 (정윤식)
제16장 인터넷 비판 (박천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