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반도에서 공인된 김씨성 역사는 김수로, 김알지로부터 시작한다.
하지만 저자의 최근년간의 인식으로는 그 범위가 더 커진다.
본 책에서는 수필형태로 저자가 어렸을때부터 시작하는 김씨 성 관련 역사인식의 변천사와 근년래 깨달은 바를 바탕으로 김씨 성의 역사를 기원전 100년 이전으로 끌어 가며 또한 그 활동범위를 한반도에만 국한시키지 않고 흉노와 금나라, 청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전체로 넓혀서 풀어 보고 있다.
김씨 성의 역사는 그야말로 대단하다. 그 역사가 길 뿐만 아니라 활동무대 또한 넓어서 동아시아 전체를 아우르고 있다. 정말 보면 볼수 록 감탄을 금할수가 없으며 밀려 드는 감동에는 할 말도 찾기 어려울 정도다.
하지만 본 책에서는 이러한 김씨 성 역사의 흐름에 대해 논리적인 증거들을 제시하여 확증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으며
거기에 더불어 성씨에 대한 함의와 민족과 겨레에 대한 정의들을 되짚어 봄으로써 우리 모두로 하여금 성씨에 대한 옳바른 태도와 이해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동시에 품고 있다.
목차
머리말
1.“북조선의 주석도 전주 김씨다.”
2.“우리 만족은 너희 조선족과 한 집안이야”
3.“금나라가 조선족이 만든 나라가 아닌가요?”
4.“청나라는 만족의 나라야”
5. 김씨 성은 왜서 본관과 인구가 이렇게 많을까?
6. 김씨 성의 시작은 중국의 한나라
7. 김씨 성 그 전 조상들의 문화는?
8. 왕망정변 실패 후 김씨들 대부분이 한반도로 이동
9. 신라가 인명, 지명, 지식 등의 중국화를 추진한 이유
10. 금나라는 신라 김씨 후손들의 작품이다.
11. 청나라황실도 김씨 성의 한 연장선이었다.
12. 인류문명사의 근 절반을 관통하는 김씨 혈통 왕족 사.
13. 김씨 성은 꼭 한 유전자로부터 출발한 것은 아닌 것 같다.
14. "한국인 90%가 가짜 성·가짜 족보?"라는 다큐가 있던데......
15. 한반도인은 모두 혈연관계망으로 연결돼 있다.
16. 김씨 성의 성공은 한반도와 엮이면서 피여 날수 가 있었던 것 같다.
17. 민족이란?
18. 우리민족, 만족, 일본인은 “사촌”간이다.
19. 우리 배달문화의 정수 ? 한글과 우리말
20. 조상들의 정신계승은 물질계승이 아니다.
21. 배달문화 미래에 김씨들의 더 큰 힘을 바라며
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