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가장 양심적인 작가, 최고의 노련한 작가, 가장 숙련된 작가 어니스트 헤밍웨이. 그는 어휘 사용에 천재적 재능이 있으며 책 지면 한 장 한 장 흐르는 물 아래로 들여다보이는 개울 바닥과 같다. 문체의 기능이 변함이 없는 것은 경험에 근거한 통찰과 자신과 주인공들의 정서적 반응을 억제하는 데 있다. 창작을 통하여 진실하고 살아있는 그 어느 것보다 더 진실한 새로운 전부를 만들어 낸다. 그의 삶과 작품은 수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었고, 그가 남긴 천재의 유산은 영원하다.
목차
머리말
제1부 헤밍웨이 전기
오크파크 Oak Park
왈른 호수
캔자스 시티
키웨스트와 아바나
스페인 내전
선밸리와 아바나
2차 세계 대전
2차 대전 후 몇 년
파리
유럽 특파원
작가 생활
헤밍웨이와 네 아내
위대한 영웅의 최후
제2부 성공의 여정
성공의 여정
제3부 문체(literary style)
문체(literary style)
비극으로서 《무기여 잘 있거라》
생략이론(theory of omission)
빙산원리(presence-as-absence)
생략의 종교(religion of omission)
빙산원리(the element of an iceberg)
《노인과 바다, The Old Man and the Sea》를 통하여 본 빙산원리의 예증
제4부 미국 고교생들과 대담 및 조지 프림프턴과 회견
헤밍웨이의 미국 고교생들과 대담(1959년 A. E. 훗츠너 편집)
조지 프림프턴과 회견(1954년 스페인 마드리드 어느 카페에서)
제5부 문학 연보
헤밍웨이 문학연보
소설가, 작가로서 어니스트 헤밍웨이
제6부 주요 작품 분석과 의미
1. 해는 또 다시 뜬다(The Sun also Raise)
해는 또 다시 뜬다(The Sun also Raise)
도덕적 축으로서 투우사(toreo)
2. 무기여 잘 있거라(A Farewell to Arms)
무기여 잘 있거라(A Farewell to Arms)
무기여 잘 있거라(A Farewell to Arms)
남주인공 프레드릭 헨리
《무기여 잘 있거라》에 나타난 기교와 주제
3.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For Whom the Bell Tolls)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For Whom the Bell Tolls)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For Whom the Bell Tolls)
이 작품의 중요성
바퀴 비유(Wheel metaphor)
소설의 개요
주요 인물들
4. 노인과 바다(The Old Man and the Sea)
노인과 바다(The Old Man and the Sea)
산티아고의 비극적 결함
5. 오후의 죽음(Death in the Afternoon)
오후의 죽음(Death in the Afternoon)
6. 인디언 부락(indian Camp)
7. 깨끗하고 조명이 잘된 곳(A Clean, Well-Lighted Place)
8. 불패자(The Undefeated)
9. 병사의 고향(Soldier's Home)
10. 두 심장의 큰 강(Big Two-Hearted River)
11. 움직이는 향연(A Moveable Feast)
움직이는 향연(A Moveable Feast)
12. happy and grateful
happy and grateful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