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미리보기
엔지니어가 알아야 할 물류시스템의 ‘지식’과 ‘기술’
- 저자
- 이시카와 카즈유키 저/황명희 역/오영택 감역
- 출판사
- 성안당
- 출판일
- 2020-06-30
- 등록일
- 2021-05-10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46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물류에 큰 변혁의 물결이 밀려온다!창고, 수배송 관리부터 재고관리, 발주관리 시스템까지물류의 모든 것을 알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물류 시스템은 다양한 혁신과 스마트 기술을 도입하여 스마트 물류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스마트 물류시스템의 발전으로 공급망으로부터 창고와 배송에 이르기까지 물류에는 급격한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디지털 시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물류 실무서사물인터넷, 드론 수송, RPA, 자율주행 등 물류 업계를 둘러싸고 커다란 변혁을 맞이하고 있다. 비단 아마존(Amazon)과 같은 경우 온라인에 머물지 않고 물류를 무기로 비즈니스를 확대하고 있는 기업이 성장하고 있으며 물류가 경쟁력의 원천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인력 부족으로 촘촘한 물류 네트워크 구축이 곤란하여 물류의 현주소를 새로이 모색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인력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인터넷을 이용한 수발주, 화물 추적, 드론 수송, 자율주행, IoT, 물류의 아이들 리소스 활용(물류의 Uber 버전) 같은 많은 혁명이 물류에서 일어나고 있다. 이 책에서는 최신 물류시스템 동향과 물류시스템의 종류, IoT, 물류 처리 업무의 로봇화까지 언급하고 물류의 현재와 직면한 비즈니스의 변화를 해설하는 동시에 물류시스템에 종사하는 엔지니어가 어떻게 대응하면 되는지 등 물류 전반에 대해 살펴본다.
저자소개
와세다대학 정치경제학부 정치학과 졸업, 쓰쿠바대학 대학원 경영학 석사. 일본능률협회 컨설팅, 앤더슨 컨설팅(현, 액센추어), 일본종합연구소 등을 거쳐 서스테이너빌리티 컨설팅을 설립, 대표를 맡고 있다. 비즈니스 모델 구상, SCM 구축·도입, ERP 시스템 도입, 관리 지표 도입,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등을 전문으로 한다. 저서에 『이 한권으로 모든 것을 이해한다_ SCM의 기본』, 『도해 생산 관리의 모든 것을 아는 책』, 『재고 매니지먼트의 기본』, 『도해로 이해하는 판매·물류 관리의 추진 방법』(이상 일본실업출판사), 『왜 일본의 제조업은 돈을 벌지 못하나?』(동양경제신보사), 『사고의 보틀넥을 해제하자!』, 『‘가시화’ 시사술』 (이상, 디스커버21), 『도해 쉽게 이해하는 앞으로의 SCM』(同文館出版) 등이 있다.
목차
제1장 물류에 큰 변혁의 물결이 밀려온다1-1 물류를 지배해야 비즈니스를 지배한다1-2 물류 서비스 레벨 경쟁이 매출을 높인다1-3 인력 부족을 해결하는 효율화의 진전1-4 물류의 글로벌화1-5 진행 중인 판매물류 개혁과 지금부터 시작될 조달물류 개혁1-6 물류의 새로운 흐름1-7 물류 QCD 관리뿐 아니라 새로운 관리 지표도 필요1-8 물류를 통제하기 위한 물류 시스템 도입이 중요제2장 물류란 무엇인가?2-1 물건의 흐름으로 본 물류2-2 물건의 흐름으로 본 물류 ① 조달물류2-3 물건의 흐름으로 본 물류 ② 공장 내 물류2-4 물건의 흐름으로 본 물류 ③ 판매물류2-5 물건의 흐름으로 본 물류 ④ 창고 내 물류와 포장?유통가공2-6 물건의 흐름으로 본 물류 ⑤ 창고 특성과 수송 모드의 상이2-7 물건의 흐름으로 본 물류 ⑥ 반품물류와 회수물류라는 역물류제3장 물류 업무를 기능으로 이해하기3-1 업무의 흐름으로 본 물류3-2 물류를 구성하는 실행 업무 기능 ① 창고 관리3-3 물류를 구성하는 실행 업무 기능 ② 수배송 관리3-4 물류를 구성하는 실행 업무 기능 ③ 재고의 현품 관리3-5 물류를 구성하는 실행 업무 기능 ④ 충당?출고?출하 지시3-6 물류를 구성하는 계획 업무 기능 ① 발주 계산?보충 계산3-7 물류를 구성하는 계획 업무 기능 ② 수배송 계획3-8 물류를 구성하는 기능 ① 물류 트래킹3-9 물류를 구성하는 기능 ② 물류 퍼포먼스 관리3-10 물류를 구성하는 체크 업무 기능 트레이서빌리티3-11 물류를 중심으로 한 시스템 관련도제4장 창고 관리 업무와 창고 관리 시스템4-1 창고 관리 업무의 개요4-2 입고 예정을 취득하고 입하, 검품, 입고, 입고 예정을 삭제한다4-3 보관 기능 ① 로케이션 관리와 재고 스테이터스 관리4-4 보관 기능 ② 입고일 관리, 유효기간 관리 등의 상세 스테이터스 관리4-5 출고 기능 ① 수주?출하 지시를 취득하고 할당 기능과 연계하여 출고를 지시한다4-6 출고 기능 ② 피킹 지시, 포장 지시, 분류, 전표 인쇄4-7 특수한 업무 ① 반품 관련 업무4-8 특수한 업무 ② 재고조사제5장 수배송과 수배송 관리 시스템5-1 수배송 업무는 수배송 계획과 가시화, 컨트롤5-2 배차 계획이 수배송 관리의 중심 업무5-3 운행 관리는 수송효율을 개선한다5-4 공동 수배송을 위한 시스템과 구차구화 시스템5-5 국제 물류에서 포워더의 역할과 인코텀즈5-6 무역의 위험 부담과 비용 부담 합의 사항이 인코텀즈제6장 발주 관리와 ERP6-1 발주 계산에 필요한 수요계획과 수요 연동6-2 발주 계산 방법 ① 소요량 계산과 기준 재고 계산6-3 발주 계산 방법 ② 발주점 방식, Min-Max법, 더블 빈 법6-4 발주 계산을 담당하는 조직과 시스템의 소재6-5 SCM, ERP, MES와 WMS의 연동제7장 트레이서빌리티(traceability)와 트래킹(tracking)7-1 트레이서빌리티는 필수 구조7-2 물류 트래킹이란?제8장 SCM(Supply Chain Management)8-1 SCM이란 무엇인가?8-2 기업 경쟁력과 비용 구조를 결정하는 서플라이 체인 모델8-3 SCM의 진수는 계획 매니지먼트8-4 SCM 도입 시 유의사항제9장 WMS의 기능과 도입 시 유의사항9-1 WMS의 기능 ① 전체상과 입하?입고 기능9-2 WMS의 기능 ② 출고?출하9-3 WMS의 기능 ③ 하역 작업과 유통가공9-4 WMS의 기능 ④ 보관9-5 WMS 도입 시 유의사항제10장 TMS의 기능과 도입 시의 유의사항10-1 TMS 기능의 전체상10-2 TMS의 기능 ① 배차 계획과 적재, 차량 편성10-3 TMS의 기능 ② 운행 관리, 동태 관리10-4 TMS 도입 시 유의사항제11장 물류의 새로운 흐름과 비즈니스 기술11-1 트랜스퍼 센터와 크로스 도킹11-2 옴니 채널 대응과 드롭 숍 대응11-3 VMI 대응, 센터 납품, 밀크런으로 확장11-4 다양화하는 유통가공과 부가가치 서비스라는 물류 범위의 확대11-5 3PL의 진전과 활용·연계 방법11-6 진화하는 창고 작업과 물류 간접 업무의 로봇화11-7 각광받는 물류 IoT와 센서링, 실적 수집·가시화11-8 IoT가 여는 자율주행, 드론 수배송, 아이들 리소스 수배송물류 용어 A to 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