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하나의 웹툰이 영화, 게임, 드라마 등으로 거듭나고 있다. 이른바 트랜스미디어다. 다양한 작품을 하나로 연결하는 것이다. 등장 캐릭터, 스토리, 세계관 등이 새로운 매체에 최적화된 포맷으로 변화와 융합이 이루어져야 가치 있는 트랜스미디어 콘텐츠가 된다. 서로 다른 문법을 가진 웹툰과 영화가 어떻게 서로 윈윈할 수 있는지, 사례와 함께 웹툰의 영화 트랜스미디어 전략을 찾아 본다.
저자소개
한성대학교 영상애니메이션 전공 교수다. 한국애니메이션학회 명예회장, 한국도시문화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과 영국 왕립예술학교(Royal College of Art) 수학(PEP), UCA 예술대학원에서 애니메이션을 공부했고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미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작 표현 연구, 캐릭터 디자인, 애니메이션 기획 등을 주로 가르치고 연구하는 한편, 꾸준히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공공기관 평가위원,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 위원, 여수세계박람회조직위원회 자문위원, 문화기술(CT)R&D전략기획추진단, 디지털콘텐츠정책포럼 위원, 무주 태권도원 핵심 콘텐츠 제작 총감독으로 활동한 바 있다. 한국애니메이션학회 회장, 국제애니메이션영화협회 한국지부(ASIFA Korea) 부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애니메이션으로 『효민 아빠의 생일 파티』(2017), 『꿈이 이루어지는 흥천사(정릉원찰)』(2015), 『아생여당 애니메이션』(2014), 『지수화풍』(2014), 『태권 히어로즈』(2013), 『속리산 도깨비』(2009), 『Animation for Korea’s Four Seasons Story』(1999), 『Animation for Autumn Story』(1998)을 제작했다. 주요 저서로는 『고등학교 미술』(2011), 『디지털콘텐츠제작을 위한 애니메이션 워크북』(2009), 『디자인분야 논문작성실제』(2001), 『광고와 마아케팅』(1991) 등이 있다.
목차
스마트 미디어 시대, 웹툰의 미래를 보자 01 뉴미디어 시대, 만화와 웹툰, 영화 콘텐츠 02 웹툰의 진화와 확장성, 다양한 시각효과 03 웹툰의 구성 요소와 웹툰 플랫폼의 특징 04 웹툰의 상상력과 디지털 세대의 사유 방식 05 트랜스미디어 영화 콘텐츠의 특성 06 트랜스미디어 영화의 스토리텔링 07 이용자 오감의 확장과 감성 기술 08 영화 트랜스미디어의 성공과 실패 사례 09 웹툰 기반 영화 트랜스미디어의 핵심 전략 10 인공지능 웹툰, 트랜스미디어 영화의 미래 용